"공항 이전되면 모든 규제 풀려 무리 없을 것"
SPC 놓곤 "주력 주관사는 공항公…LH 참여여부 중요치 않다"
![]() |
홍준표 대구시장이 21일 대구시청 동인청사 기자실을 찾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
홍 시장은 이날 동인청사 기자실을 찾아 "K2 배후 주거단지 개발은 신공항 착공과 동시에 진행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공항이 이전되고 나면 (K2 부지에) 모든 규제가 풀리기 때문에 아파트를 짓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후 주거단지 개발 시 고도제한 문제에 대해선 "공항을 이전하고 아파트를 완공하면 지장이 없다"고 했다.
대구시는 K2 부지(대구공항 포함) 770만㎡(230만평) 주변 그린벨트 330만㎡(약 100만평)를 풀어 신공항 배후 주거단지로 개발할 예정인데, 홍 시장이 이곳에 아파트 10만 세대 건립을 공언한 것이다.
![]() |
홍준표 대구시장이 21일 대구시청 동인청사 기자실을 찾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
그러면서 홍 시장은 배후 주거단지 아파트 분양 사업의 성공을 위해 현재 묶어 놓은 신규 아파트 건설 불허 방침을 지속할 방침도 언급했다. "신규 아파트 건설 승인을 잠정 보류한다. 신규 승인을 안 해 공급 부족 사태를 맞아 어느 정도 미분양이 해소되고 난 뒤에 풀어줘도 늦지 않다. 신규 아파트 건설은 배후 주거단지 개발 계획에 맞춰서 승인할 것"이라고 했다.
홍 시장은 TK신공항 사업을 주도할 특수목적법인(SPC) 구성과 관련, "주력 주관사는 한국공항공사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참여 여부는 중요한 사안이 아니다"고 했다. 일각에서 보는 'LH의 참여 여부에 신공항 사업의 성패가 달렸다'는 시각을 일축한 것이다.
오히려 " LH에 목메지 않는다고 처음부터 말했다. 워낙 부채가 많은 집단이라 선뜻 참여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LH 배제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논란이 된 신공항 복수 화물터미널 설치 문제에 대해서는 "경북도·의성군과 국토부가 협의할 사안이지, 대구시가 관여할 사안이 아니다"고 했다. 다만, "화물 터미널이 두 개가 되고 화물처리 용량이 늘어나면 우리(대구시) 입장에선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홍 시장은 대학 정책을 총괄하는 '대학정책국'을 신설하는 뜻을 피력했다. 그는 "지방대학이 위기에 처했는데, 지자체장들이 떠들기만 하고 대학 관련 대책을 다루는 기구가 없다"면서 "대학정책국을 만드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민경석
민경석 기자입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