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부권 반도체 메가 클러스트 조성 구체화
반도체 인재 수도권에 머물고 지역 인재 유출 우려
대구, 구미 "글로벌 기업 유치로 인재 유출 막을 것"
윤석열 대통령은 15일 경기도 수원 성균관대 반도체관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개최한 민생토론회에서 "경기도 남부를 관통하는 세계 최대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며 "앞으로 20년에 걸쳐서 양질의 일자리가 최소 300만개는 새로 생길 것이다. 당장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 158조원이 투자되고, 직·간접 일자리 95만개가 새로 만들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평택, 화성, 용인, 이천, 안성, 성남 판교, 수원 등 경기 남부권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대한 예상 투자 규모는 622조원에 달한다.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반도체의 수도권 쏠림이 현실화 되면서 대구와 구미의 반도체 기업 유치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 인재 수혈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 남부권이 반도체 남방한계선으로 작동하면서 인재들이 수도권에 머무는 것은 물론 지역에서 성장한 인재도 수도권으로 향할 가능성이 높다.
![]() |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해 비수도권 유일 첨단반도체 소재부품 특화단지로 지정된 구미시는 국가5 산단 2단계 업종 완화 등 기업 유치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그동안 수도권에 소재부품을 계속 공급한 구미 반도체 소재부품 기업이 구미를 떠나는 우려는 하지 않는다"면서도 "구미에 더 많은 반도체 소재부품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선 국가 5 산단 2단계 업종 완화와 기회발전 특구 지정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비메모리 반도체의 허브도시로 만든다는 비전을 내세운 대구시는 수도권 대기업들이 독점하는 메모리 반도체분야와 차별화해 틈새시장을 노릴 계획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의 반도체 사업 인프라는 센서와 지능형, 시스템에 중점을 두고 육성된다. 오는 2027년까지 센소리움연구소에서 첨단센서 연구개발과 장비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문제는 지역 반도체 인프라를 통해 성장한 반도체 인재의 유출이다. 반도체 특성화대학을 비롯해 반도체 설계검증 인프라 활성화사업, 삼성전자 계약학과 등을 통해 대구에서만 연간 600여명이 더 좋은 직장을 찾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로 향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구시는 글로벌 기업의 대구 유치를 통해 반도체 인재 유출 우려를 해소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수도권에 비해 탄탄하지 않은 대구의 산업 기반을 고려하면 인재 수급에 대한 걱정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을 대구로 유치하려고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박용기기자 ygpark@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손선우

박용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