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5월22일 경남 양산 평산마을 평산책방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함께 손을 잡고 있다. 연합뉴스 |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복권 가능성에 따른 여권 내 갈등이 악화하는 모양새다. 광복절 사면·복권은 국무회의 의결 및 윤석열 대통령의 재가 절차가 남은 만큼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전 도지사 복권 반대입장을 내비쳤던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이를 공개적으로 발언하지 않으면서 봉합하려는 듯한 모습이다. 한 대표는 이날 4선 중진들과 오찬을 가졌는데, 이 자리에서 최근 논란이 된 김 전 지사 복권 문제가 거론됐고, 대부분의 참석자들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는 오찬 후 기자들과 만나 "제 뜻에 대해선 이미 알려졌고 충분히 전달된 걸로 본다"며 말을 아꼈다.
![]()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하지만 당내 주류인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계가 이 문제를 두고 여전히 견해차를 노출하고 있다. 친한계 진종오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전 도지사의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에 대해 "국민을 분노하게 했던 사건"이라며 "우리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반면 김재원 최고위원은 전날 라디오에서 "한 대표가 자신이 법무부 장관 시절 사면했던 김 전 지사의 복권을 반대하고 나서니 특이하고 의아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여권 일각에선 한 대표가 차기 대권을 염두에 두고 윤 대통령과 차별화를 시도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신동욱 원내수석대변인은 라디오에서 "한 대표는 '정치적 발언'을 한 것"이라며 "한 대표 역시 다음 대선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분이고, 이재명 전 대표도 마찬가지"라고 언급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