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종자 방류-바닥갈이-유해생물 퇴치 지원 사업
사업비 11억5천만원, 전체 수협 사업비의 0.064% 불과
수협중앙회가 어업인 소득증대 및 수산자원 조성을 위한 사업들이 전체 사업예산의 1%에도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마저도 전액 집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이만희 (경북 영천·청도) 의원에 따르면, 수협은 작년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수산종자 방류 지원 사업과 바닥갈이·유해생물 퇴치 지원 사업에 11억 5천만 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이는 수협중앙회 전체 연간 사업비(약 1조7천800억 원)의 0.064% 수준에 불과하다.
실제 수협중앙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점 추진과제 총 15개중 "지속 가능한 수산기반 조성"은 세 번째로 기재되어 있다. 세부 내용으로는 수산자원 조성 및 바다환경 개선 등이 지목되어 있다. 문제는 수산자원 조성회복 사업의 경우 배정된 예산 중 사용된 금액은 9억9천만 원으로 실행률이 86%에 불과했다. 또 바다쓰레기 수거 등에 쓰이는 바다환경 유지 개선 사업도 전체 예산(5억6천 여만 원)의 67%(3억7천만 원)만 집행됐다. 수협중앙회 차원의 수산자원 조성 사업 예산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를 집행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도 약하다는 것이다.
이만희 의원은 "해수부가 제출한 최근 30년간 연근해 수산자원 생산량에 따르면 1994년 149만여톤에서 작년 96만여톤으로 3분의 1정도가 줄었다"며 "수산자원 조성 사업이나 바다환경 개선 사업은 수협의 존재 이유 중 가장 기본적인 어민들의 삶의 터전을 지키는 것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 사업이 어민을 위한 핵심 사업이란 관점에서 수협은 더 많은 예산확보와 실제 집행률을 끌어올리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