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울산 한국석유공사 본사서 가스공사 국정감사 진행
가스요금 미수금 및 이자 문제, 수소 관련 사업 후퇴 등 지적
![]() |
17일 울산시 중구 한국석유공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한국석유공사 등 12개 기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026년까지 15조 6천억원 규모의 강도 높은 자구노력 계획을 수립해 이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최 사장은 17일 한국석유공사 울산 본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라 조직 인력을 효율화하고, 복리후생 제도 개선을 완료했다. 지속적 경영혁신을 통해 생산성,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상반기 실적 약 6천억원을 포함해 자산매각, 해외사업 투자회수 등으로 2조원을 달성할 전망"이라며 "현재 12개국에서 23개 자원개발 사업을 운영 중이다. 총 2억t의 자원을 확보했다. LNG 사업 배당수익 2조1천억원도 가스요금 인하에 활용했다"고 부연했다.
이날 가스공사관련 쟁점은 가스요금 미수금 문제였다. 가스공사 미수금은 올 연말 14조원 이상에 달할 전망이다. 매년 이자 부담은 1조7천억원이다. 하루로 계산하면 46억원, 미수금 이자만 12억원이다.
박상웅 국민의힘 의원의 미수금과 이자에 대한 질의에 대해 최 사장은 "처음 기본설계부터 (가스공사는) 단 1원의 수익도 붙이지 않는 '패스스루'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돈 버는 구조가 아니다. 자체적으로 큰 규모의 미수금을 해결하긴 어렵다"고 했다.
이에 박 의원은 "사장 자리만 지키지 말고 정부에 개선책·요구사항을 명확히 제시해라, 그래야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촉구했다.
가스공사는 중장기 탄소중립 전략 실행 현황도 설명했다. 2020년 수소유통전담기관으로 지정된 후 진행한 수송용 생산기지·충전소 구축 등에 대해 언급했다.
하지만 글로벌 흐름엔 많이 뒤처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김종민 의원(무소속)은 국내 수소차, 충전소 등 관련산업은 세계 1위인데, 가스공사가 담당해야할 생산·저장·운송 기술은 선진국과 격차가 더 벌어졌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사장 취임 후 수소 관련 사업이 지연되거나 철회된 게 많다"면서 "수소사업은 글로벌 쟁점이다. 가스공사가 정부와 협력해 추진할 책임이 있다. 시장상황이나 기술 산업성이 어렵거나, 당장 수지에 맞지 않는다고 수소 사업을 후퇴시키는 건 맞지 않다"고 했다.
이에 대해 최 사장은 "(국내 수소 산업의) 수요와 기술개발이 서로 어깨를 나란히 해줘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속도 조절 중"이라며 "액화수소 저장 등 본질적·핵심적 기술에 접근해야 문제가 해결된다. 해외에도 그린수소를 저장·수송할 기술이 없다. 우리가 이런 기술을 개발하는 게 맞다"고 답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