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행정통합을 위한 주민 설명회가 지난 1일 대구 남구에서 시작됐다. 대구시가 주관하는 설명회는 5일까지 대구의 9개 구·군 주민들을 대상으로 열린다. 경북도 역시 4개 권역으로 나눠 7일 동부권(포항·경주·영덕·울진·울릉)을 시작으로 한 달 동안 22개 시·군 설명회를 갖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행정통합이 필요한 이유, 추진 경과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주민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행정통합 추진과정에서 주민 의견 수렴은 기본 절차다.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이라도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은 행정통합의 성공을 위해 바람직한 것이다.
주민설명회를 통해 행정통합에 공감하는 주민들이 늘어나야 한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행정통합으로 내 삶이 좋아질 것이란 인식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 그것도 아주 먼 훗날이 아니라 머지않아 좋아질 것이란 기대가 있어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대구경북행정통합이 되면 2045년에 대구경북은 서울보다 인구·사업체·일자리가 1.3~1.4배 많을 것이라는 대구정책연구원의 지나친 장밋빛 전망보다는, 주민이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현실적인 비전 제시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반대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것이다. 그런 후 반대 주민이 우려하는 부분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 안동시의회와 예천군의회는 통합 반대를 공식화했지만, 설명회를 하다 보면 또 다른 반대에 직면할 수도 있다. 통합이 성공하려면 가칭 '대구경북특별시 설치 및 지원 특별법'의 국회 통과라는 큰 산도 넘어야 한다. 지역민들이 통합에 공감하지 않으면 큰 산을 넘을 수 없다.
주민설명회를 통해 행정통합에 공감하는 주민들이 늘어나야 한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행정통합으로 내 삶이 좋아질 것이란 인식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 그것도 아주 먼 훗날이 아니라 머지않아 좋아질 것이란 기대가 있어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대구경북행정통합이 되면 2045년에 대구경북은 서울보다 인구·사업체·일자리가 1.3~1.4배 많을 것이라는 대구정책연구원의 지나친 장밋빛 전망보다는, 주민이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현실적인 비전 제시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반대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것이다. 그런 후 반대 주민이 우려하는 부분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 안동시의회와 예천군의회는 통합 반대를 공식화했지만, 설명회를 하다 보면 또 다른 반대에 직면할 수도 있다. 통합이 성공하려면 가칭 '대구경북특별시 설치 및 지원 특별법'의 국회 통과라는 큰 산도 넘어야 한다. 지역민들이 통합에 공감하지 않으면 큰 산을 넘을 수 없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