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제철소 동호안 공장 착공
연산 13만 노멀입방미터 규모
국내시장 수요 52% 공급 예상
국가첨단산업 성장 기여 기대
![]() |
5일 광양 동호안 부지에서 진행된 고순도 희귀가스 공장 착공식 모습.<포스코 제공> |
포스코그룹이 지금까지 대부분 수입에 의존했던 고순도 희귀가스 국산화를 위한 첫발을 뗐다.
포스코중타이에어솔루션은 5일 전라남도 광양시 동호안 부지에 고순도 희귀가스 공장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중타이에어솔루션은 포스코홀딩스와 중국 중타이 크라이오제닉 테크놀로지(이하 중타이)가 각각 75.1%, 24.9%의 비율로 합작 투자한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 법인이다. 올해 8월 출범했다.
희귀가스는 지구상에 극미량만이 존재해 대량 생산이 어렵고 인공적인 생산이 불가능한 희소성이 높은 산업용 가스의 일종이다. 주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인공위성 추진 연료 등 첨단산업에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포스코가 유일하게 제철소 산소공장에서 크루드(crude) 희귀가스(순도 41% 이하인 네온(Ne), 제논(Xe), 크립톤(Kr))를 생산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산소공장에서 생산한 희귀가스를 99.999%의 고순도 희귀가스로 정제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美 인텔 등 국내외 반도체 기업에 공급하고자 지난해 12월부터 중타이와 함께 고순도 희귀가스 공장 설립을 추진해 왔다. 중타이는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설비 엔지니어링 대한 높은 전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고순도 희귀가스 공장은 내년 11월 준공을 목표로 광양제철소 동호안 남측 부지에 들어설 예정으로 연산 13만 N㎥(노멀 입방미터) 규모다.
이는 국내 반도체 시장 수요의 52%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 왔던 고순도 희귀가스의 소재 국산화 및 반도체·우주산업 등 국가첨단산업 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광양 동호안은 당초 철강 관련 업종만 입주가 가능했던 기존 법령으로 인해 유휴 부지 및 미매립지를 활용한 신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난해 10월 정부가 동호안 부지를 활용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 관련 법령을 개정하면서 이번에 국내 최대 규모의 고순도 희귀가스 사업을 동호안 부지에 추진 할 수 있게 됐다.
이형수 포스코 경영기획본부장은 "포스코그룹은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을 시작으로 제철 부산물을 활용하는 특수가스, 2차전지 소재 생산을 위한 산소, 질소 공급 등 산업가스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