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327010002909

영남일보TV

"산불 대부분 人災, 기후변화 탓 아냐…화재 유발행위 규제 강화해야"

2025-03-27

전문가 대응체계 점검 한목소리

비전문 진화인력 투입도 문제

IoT감지기 첨단장비 구축 제안

산불 대부분 人災, 기후변화 탓 아냐…화재 유발행위 규제 강화해야

경북지역 곳곳이 산불로 뒤덮인 상황에서 당국의 현행 산불 예방·대응체계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잖다. 전문가들은 산불이 대부분 인재(人災)인 만큼, 사전 예방 교육과 인식 개선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후화된 대응 장비와 비전문인력 투입 등에 대해서도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긴다.

김해동 계명대 교수(환경공학과)는 기후변화로 산불이 날 가능성이 높아진 점을 인정하면서도, 산불의 직접적 원인은 기상 조건이 아닌 사람에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김 교수는 "기후변화로 비가 내리지 않는 날이 많아 산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것을 기후위기 탓으로 돌리는 건 과도한 해석"이라며 "일각에선 2월 경북 북부지역에 나타난 가뭄 등을 산불 원인으로 꼽는데, 3월에도 대설이 내리는 등 강수량이 결코 적지 않다"고 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항상 봄철에 건조했다. 올해 기후가 유별난 게 아니다. 산불 예방을 위해선 직접적인 원인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소나무 중심의 수종 분포와 위험인식 부재 등이 산불 위협을 키웠다고 봤다. 그는 "우리나라는 해외와 달리 산에 사유지가 많다. 사유지엔 경제적 이유로 소나무를 많이 심는데, 소나무는 특히 산불에 취약하다. 산림당국은 앞으로 산림 구조 전환에 힘써야 한다"며 "산불 발생의 대다수 원인은 인재다. 산에서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불진화작업에 투입되는 비전문인력과 관련한 제도적 개선도 절실하다.

대구의 한 기초단체 공무원은 "산불이 나 직원 전체가 동원된 적이 있다. 하지만 훈련을 제대로 받은 적이 없어 우왕좌왕했고, 일부가 양동이에 물을 퍼서 잔불 진압에 나섰는데 이 과정에서 동료가 허리를 다쳤다"며 "만약 투입됐던 날에 산불이 심각했다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고 했다.

백찬수 대구보건대 교수(소방안전관리학과)는 "소방설비 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인력이 현장에 투입돼야 한다. 소방안전관리자 3급 정도 자격만 갖춰도 옥외소화전 등을 사용할 수 있다"며 "비전문인력을 투입해야만한다면 정기 교육·훈련이 동반돼야 한다"고 했다.

노후화된 장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산불진압시 헬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큰 산불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 장비가 노후화되진 않았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감시·예방용 전문 장비 확보도 함께 거론했다. IoT(사물인터넷) 감지기, 드론 등 연기·온도를 감시할 수 있는 장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영민기자 ympar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