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50일 앞둔 14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직원들이 선거사무관계자 표지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6·3 대통령선거 레이스 초반 각 당의 화두는 '경선룰'이다. 각 당의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룰이 확정된 뒤 대선 출마 의지를 밝혔던 일부 인사들이 이에 반발해 경선에 참여하지 않는 등 잡음이 일고 있다.
일부 인사들은 대선 불출마가 아닌 '경선 불출마'를 언급까지 하며 향후 '빅텐트' 또는 '연대' 가능성까지 내비치는 등 논란의 불씨는 장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중앙위원회를 거쳐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로 경선 룰을 확정했다.
이는 앞선 민주당의 국민참여경선제에서 변경된 것으로, 당원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핵심이다. 때문에 당내 소수 세력인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크게 반발하며,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주장해왔다.
결국 민주당 김두관 전 의원은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문에서 “죄송하고 부끄럽지만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면목이 없다. 경선을 거부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후보들과 협의 없이 결정한 경선 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최근 경선룰을 확정한 가운데 '역선택 방지 조항'이 문제가 됐다. 이는 국민의힘을 지지하거나 무당층만 참여할 수 있는 경선룰로, 중도층의 강점이 있는 유승민 전 의원은 이에 반대해 왔고 전날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치권에선 향후 반명(반이재명) 빅텐트 시 이들이 부활할 가능성도 예상하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비롯해 원외 인사들이 제3지대에서 세력을 형성한 뒤 다시 대권 레이스에 뛰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 전 의원은 이와 관련해 무소속으로 출마하거나 제3지대에서 세력을 형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경선룰에 반발했던 민주당 소속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들러리 경선, 의미없는 경선에 불과하다“며 깊은 유감을 표하면서도 경선에는 참여할 뜻을 밝혔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