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T1 12.02%…2027년 목표 조기 달성 청신호
연체율 HF보증서 담보대출 대규모 연체로 상승
iM금융 “자산건전성 관련 주요 지표 개선될 것”

올해 1분기 iM금융그룹의 자본적정성 지표는 개선됐지만, 자본건전성 지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iM금융그룹의 올해 1분기 실적발표 자료 등에 따르면, 그룹의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2.02%를 기록했다. 큰 폭의 이익 증가와 효율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로 전분기 대비 30bp 상승했다는 게 iM금융그룹의 설명이다.
지난해 1분기 보통주자본비율은 11.12%로 같은해 2분기 11.22%, 3분기 11.77%로 상승세를 이어왔다. 그해 4분기 11.72%로 소폭 하락했으나 올해 1분기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주요 계열사인 iM뱅크의 보통주자본비율 또한 지난해 1분기 13.51%, 2분기 13.65%, 3분기 14.41%, 4분기 14.32%, 올해 1분기 14.84%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iM금융지주는 2027년말 목표치 12.3% 를 조기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1분기 보통주자본비율은 지난 2월 발표한 400억원 자사주 매입 소각 계획이 대부분 반영된 수치로, 효율적인 자본관리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게 iM금융지주의 계획이다.
반면, 자산건전성 지표로 꼽히는 연체율은 그룹은 전분기 1.34%에서 1.71%, iM뱅크는 0.62%에서 1.09%로 대폭 증가했다. 이는 1천484억 규모의 한국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 담보대출의 연체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이를 제외한 그룹과 iM뱅크의 연체율은 각각 1.48%, 0.84%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그룹은 전년도와 같은 1.63%, iM뱅크는 전분기(0.74%)보다 증가한 0.82%를 나타냈다.
실적 발표 당시 컨퍼런스콜에서 천병규 iM금융그룹 CFO는 “금리 하락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거액 보증서 담보 여신 외에 현재 정상 분류 중인 중도금 대출 연체 금액 및 보증서 대출 부실 건에 대한 상황 및 대위변제가 (올해)2~3분기 중으로 마무리된다면, 자산건전성 관련 주요 지표들은 관리 가능한 범위 이내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