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청사 부지 매각 지연 따른 고육지책
청사건립·후적지 개발 묶는 방식

대구 수성구 신청사 예정지 <수성구청 제공>
신청사 건립을 추진중인 대구 수성구청이 현 청사 부지매각이 지연되자 고육지책으로 '기부대 양여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취재결과 확인됐다. 대규모 자금 확보가 어려운 만큼, 민간개발사와 부담을 나누는 방식이 더 현실적이라는 판단에서다. 관건은 부동산 경기 회복 여부다.
21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수성구 신청사 건립 사업은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현 청사 부지 매각이 지체되고 있어서다. 지난해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의 대구 이전설과 함께 부지 매입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현재는 거의 흐지부지된 상태다.
신청사는 범어공원 일원 지하 2층·지상 9~10층 규모로 지을 계획이다. 사업비는 총 2천848억원으로 추산된다. 부대비용까지 합치면 사업비는 3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수성구청은 이 비용을 현 청사 부지 매각 대금으로 충당할 생각이다. 부지 규모 가치는 2천억원 후반에서 3천억원대 초반으로 추산된다.
사업 방식은 크게 2개 방식으로 압축된 모양새다. 기부대 양여방식과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등 기관을 통한 간접 개발이 그것이다.
현재로선 민간이 신청사 공사와 청사 후적지 개발을 함께 맡는 기부대 양여 방식이 유력하다. 이 경우 건설사가 범어공원 부지 매입비 1천억원을 우선 부담해야 한다. 다만 범어공원이 시유지인 탓에 부지 사용권 양도 등이 변수가 될 수 있다. 향후 대구시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공사비 등 사업 자금 확보와 관련해선 건설사가 구청 부지를 분납 방식으로 매입하면, 구청이 공사 진행 단계에 맞춰 연차별 공사비를 지급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양측 모두 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캠코 등 공공기관이 신청사 개발을 맡는 방식도 있다. 캠코가 국채 발행 등으로 공사비를 조달하면, 구청이 캠코 측에 수익 을 배분(4~5%)하고 국채 이자를 지급하는 구조다. 이를 통해 부지 사용권을 확보하는 동시에 신축 공사에 빨리 착수할 수 있다. 구청은 이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될 시, 현 부지 매각에 대한 '일시납입'을 원칙으로 내세운 상태다.
수성구청 측은 "기부대 양여 방식을 택하면 민간 입장에선 공원 부지 대금만 확보하면 진입이 가능해 사업성이 높다. 다만 특정 기업에 특혜로 비칠 수 있는 만큼 법적·행정적 장치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부지 매각이 현실화되면, 나머지 절차는 속도감 있게 진행할 수 있다. 2030년 완공이 목표"라며 "관건은 부동산 경기다. 전문가들은 지역 부동산 경기가 내년쯤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한다. 현 구청 부지를 '제값'에 팔지 못하면 사업 계획 자체를 전면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