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918021586946

영남일보TV

민간투자 난항에 발목…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일정 재조정

2025-09-18 19:25

민간투자 매력 부족·코레일 지분 구조가 걸림돌
연계 교통 인프라 지연 땐 민간 참여 더 위축될 우려
대구시, 코레일과 공동 투자 유치·국토부 컨설팅 활용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대구시 제공.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대구시 제공.

서대구권 개발의 핵심인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사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경기 침체 여파로 민간투자자 확보가 지연되면서 올해 착공 계획이 무산됐고, 빨라도 내년 말에야 첫 삽을 뜰 전망이다. 18일 대구시에 따르면 내년 중 민간투자를 유치해 실시계획 승인·고시를 거친 뒤 연말 착공에 들어가겠다는 새 로드맵을 확정했다.


2023년에 지정 고시된 복합환승센터의 총사업비는 5천억원 규모이며, 완공 목표는 2030년이다. 센터는 북부·서부정류장과 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하고, 도심공항터미널을 신설해 대구경북신공항·달빛철도와 연계되는 교통거점으로 건립된다. 연면적 18만㎡, 지하5층~지상6층 규모로 교통·상업·업무·주거 기능을 함께 담는다.


관건은 민간투자다. 과거 이케아·신세계 등 대형 유통사 입점 논의가 있었지만 투자 매력이 떨어져 성사되지 못했다. 법령상 수익률이 10% 안팎으로 제한돼 수익성 확보가 어렵고, 사업부지의 70%를 코레일이 보유한 점도 걸림돌이다. 내년 7월까지 투자자를 확보하지 못하면 실시계획 승인 기한을 넘겨 행정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대구경북신공항 등 연계 교통사업의 추진 속도 역시 변수다. 연계 사업이 지연되면 불확실성을 꺼리는 민간기업 참여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대구시는 코레일과 공동으로 투자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복합환승센터 혁신 모델 컨설팅'에도 참여해 사업성 보완책을 모색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기업 참여가 쉽지 않아 일정이 늦어졌다"며 "코레일 협력과 국토부 컨설팅을 통해 투자 여건을 개선하고, 내년에 사업자를 지정해 빠른 착공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