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은 곧 폐쇄, 지역 생존권 말살”…주민 500여명 거리로

25일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마트 앞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이전 반대 주민결의대회'에서 주민들이 결의문을 낭독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황준오기자

25일 봉화군 석포면 만촌마트 앞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이전 반대 주민결의대회'에 참석한 주민들이 붉은 머리띠와 피켓을 들고 '생존권 사수'를 외치고 있다. 황준오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과 강원 태백시 주민들이 영풍석포제련소(이하 제련소) 이전 추진에 정면으로 반발하며 총궐기 집회를 열었다.
25일 오후 2시, 봉화군 석포면 만촌마트 앞에서 열린 '제련소 이전 반대 주민결의대회'에는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 주민생존권사수봉화군협의회, 태백시현안대책위원회 등 지역 단체와 주민 500여명이 참여했다. 행사장은 "이전은 곧 폐쇄, 생존권 박탈"을 외치는 구호로 가득 찼다.
주민들은 결의문을 통해 "목숨 걸고 재산권과 생존권을 지키겠다"며 정부와 환경단체의 일방적 논리에 맞서 끝까지 싸우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결의대회는 단순한 시위가 아니라 "최후의 외침"이라는 점을 주민들이 강조했다.
1970년 설립된 제련소는 반세기 넘게 지역 고용과 경제를 지탱해왔으나, 낙동강 상류 수질오염 논란 속에 환경단체의 압박으로 이전·폐쇄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경북도는 이미 제련소 이전 타당성 조사를 위한 TF팀을 운영 중이다.
주민들은 제련소가 철수할 경우 약 2천명의 석포 주민과 봉화·태백 지역 경제가 치명적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석포는 제련소 종사자와 협력업체를 중심으로 생계가 유지되고 있으며, 지역 상권과 인구 유지에도 직결된다. "정부가 지역의 현실은 외면한 채 환경단체 주장에만 기울어 있다"는 불신도 터져 나왔다.
영풍 측은 최근 수년간 매년 1천억원 안팎을 투자해 무방류 시스템과 저황산화 설비, 대기·수질 개선 장치 등을 갖췄다고 밝혔다. 하지만 환경단체와 일부 학계는 여전히 낙동강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어 갈등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은 중앙정부와 경북도가 이전 논의를 중단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한 종합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반면 환경단체는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 이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결국 환경 보전과 지역 생존권 사이의 해법 모색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갈등은 이어질 전망이다.

황준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