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 0시부터 새벽 5시까지 심야배송 금지를 제안한 데 대해 당사자인 쿠팡 정규직 배송기사 노조와 소비자단체 등이 강력하게 반대 입장을 내고 있다다. <영남일보DB>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하 택배노조)이 0시부터 새벽 5시까지 심야배송 금지를 제안한 데 대한 후폭풍이 만만찮다. 쿠팡 정규직 배송기사 노동조합, 소비자단체 등이 강력하게 반대 입장을 내보이는 가운데 지역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30일 쿠팡노동조합은 입장문을 통해 "우리는 택배노조의 0~5시 배송 전면 금지 주장에 반대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이어 "새벽배송 금지로 인한 고용 안전과 임금보전은 누가 책임 질거냐. 새벽배송은 국민 삶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서비스로 자리잡았는데, 이런 현실을 외면한 채 단순히 '야간 근로를 줄이자'는 주장 만으로 새벽배송을 금지하자는 것은 택배 산업의 근간을 흔드는 처사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또 "국회와 정부는 새벽배송 전면 금지라는 정치적 제안에 휘둘리지 말고, 택배업의 경쟁력과 소비자, 중소기업, 택배 노동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대안에 논의를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지난 29일 택배노조는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하자며 0시부터 새벽 5시까지 배송 제한을 요구했다. 택배노조는 '쿠팡 심야배송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입장문'을 내고 "0시부터 새벽 5시까지 초심야 시간대의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노동자들의 수면 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도 제안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사실상 내년 새벽 배송이 전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사회적대화기구는 지난해 5월 쿠팡 택배 노동자가 과로사로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지난달 출범했다. 법적 강제력은 없지만, 여기서 도출된 합의가 정부 정책과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같은 소식에 소비자단체들도 크게 반발하고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30일 성명을 내고 "택배노동자의 권익 보호 문제는 여전히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지만, '심야배송 전면 금지'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한 채 또 다른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게 될 것"이라며 "새벽배송 서비스를 전면 중단할 경우, 그 피해는 단순 소비자나 자영업자의 불편에 그치지 않고, 물류 종사자와 연관 사업자 등 광범위한 사회 구성원의 일상과 생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고 우려했다.
대구지역 소비자들도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새벽배송 이용자는 약 2천만명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에서 10세 자녀를 키우는 직장인 최모(여·40·대구 북구)씨는 "퇴근하고 아이들 학용품이나 준비물을 챙기려면 문구점은 학교 끝나는 시간에 닫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근처 대형마트나 다이소 등을 헤매야한다. 새벽배송으로 주문하면 아이 등교 전에 바로 가져다 주기 때문에 워킹맘 입장에선 빛과 같은 존재"라며 "음식 역시도 새벽배송 전에는 매번 주말에 몰아서 장을 봐왔지만, 이제는 신선한 재료를 제때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새벽배송을 없앤다니, 말도 안되는 일이다"며 분노했다.
실제 <사>소비자함께와 한국소비자단체연합이 9월24일~10월14일 조사기관 더 브레인에 의뢰해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통업계의 새벽배송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축소될 경우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 답변한 비율은 64.1%('매우 불편해질 것' 19.9%, '다소 불편해질 것' 44.2%)로 과반을 넘었다.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