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031026295207

영남일보TV

  •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
  • [영상]경주를 물든인 K컬처 특별전… 신라의 향기, 현대 예술로 피어나다

[사설] 한·중 정상회담…구호가 아니라 실리로 대응해야

2025-10-31 13:52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어제 경주 APEC 참석차 한국을 11년 만에 방문했다. 박근혜 정부 말기에 시작된 한국내 사드(THAAD) 배치로 인한 갈등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웃나라 정상이 11년 만에 한국을 찾았다는 사실만으로 그간 양국 관계가 얼마나 소원했는지를 보여준다. 11월1일에는 한·중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그간 소원했던 한·중 관계를 정상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협력모델과 균형외교의 틀도 마련해야 한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자 공급망 안정의 핵심 파트너다. 한·중 경제협력이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한·중 모두 이번 정상회담 때 경제협력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다. 이 대통령은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시 주석 방한을 계기로) 민생분야에서의 실질적 협력 강화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하고, 경제·무역 협의 채널을 확대해 FTA(자유무역협정) 서비스·투자분야 협상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는 한국과의 산업 공급망 협력 확대를 언급했다. 신화통신은 '한국과 중국은 이사할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라는 시 주석의 과거발언을 제목으로 포장한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 이 같은 양국가의 기대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중 FTA 2단계 협상 재개 안건은 정상회담 의제에 올려야 한다. 그래서 양국 국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결과를 내야 한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서해를 '중국의 내해(內海)'로 만들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 일대에 철제 구조물을 설치하고 우리 해양조사선을 포위·추적한 사건은 단순한 해양 갈등을 넘어 해양 주권을 위협하는 사안이다. 한반도 안정화 문제도 빠트릴 수 없다. 시 주석에게 북한의 핵 위협이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안정을 무너뜨린다는 점을 분명히 상기시키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인 중재자 역할을 요구해야 한다.


중국은 이번 회담에서 △'하나의 중국' 원칙 존중 △미국 중심의 반중 동맹에서의 신중한 행보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책은 국익 우선주의와 상호주의 원칙 아래 재단돼야 한다. 우리는 중국을 적으로 만들 필요도, 종속될 이유도 없다. 협력에는 열린 마음으로, 주권 침해에는 냉철한 단호함으로 대응해야 한다. 감정이 아니라 전략으로, 구호가 아니라 실리로 대응할 때 한국은 당당한 중견국 외교를 구현할 수 있다.시진핑의 11년 만의 발걸음은 한국에게 또 하나의 기회다. 한·중 정상회담이 진정한 상호 존중의 만남으로 기록되기를 바란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