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01206.010290719510001

영남일보TV

[발언대] 청도반시의 비밀

2010-12-06

풍토 영향 씨 없는 청도 반시
비타민·무기질·구연산 풍부
고혈압·동맥경화 등에 효과

[발언대] 청도반시의 비밀

청도에서 나는 반시에는 씨가 없다. 과일의 모양은 네모진 쟁반 같고 운두가 얕다. 풋풋한 생감을 그대로 먹으면 떫지만 홍시로 만들어 먹으면 달고 부드럽다.

명산물 청도반시의 처음 이름은 새울 반시였다. 새울은 이서면에 있는 마을 이름이다. 이 마을에 태어난 박호씨가 평해 군수를 할 때다. 친구가 중국에서 가져 온 감나무의 접순을 얻어 고향에 가져와 접을 붙여 가꾼 게 새울 반시의 시작이라 한다. 토양이 나무의 생장에 맞아 새울에서 자라면서 감에 씨가 없어졌고 크고 보기 좋은 열매를 많이 달았다. 이를 본 이웃 마을에서 접을 붙여 번식하고 또 다른 마을로 점점 퍼지면서 집집마다 새울 반시나무를 기르게 되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청도 반시란 새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지금도 새울 마을의 대나무밭 속에는 굵기가 두세 아름이 되고 나이는 수백 년이 된 시조 반시감나무가 열매를 달고 있다. 한로의 밤 시간에 내린 찬이슬을 맞으면서 감은 빠르게 색이 바뀌게 된다. 푸른빛이 노란빛으로 바뀌다가 다시 주황빛으로 변한다. 감은 늦가을 햇살에 살이 붙고 하루가 다르게 색깔이 바뀌어도 생감의 맛은 여전히 떫고 홍시는 되지 않는다.

건강한 생감은 홍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감 안팎에 벌레가 있거나 감 껍질에 검은색 반점 같은 병이 생기면 생감도 쉽게 홍시가 된다. 한로가 지나면 감을 따서 시장에 내다 팔기도 한다. 이때 나온 생감을 이용하여 껍질을 깎고 그것을 햇볕이나 건조기계로 말려 건시나 반 건시, 감 말랭이를 만드는 것이다.

생감을 따서 대량으로 시장에 내는 경우는 대부분 홍시로 만들어 판다. 생감을 홍시로 만드는데 감 연화촉진제라는 약을 사용한다. 먼저 약을 감상자 밑에 넣고 그 위에 생감을 차례로 쌓아 올린다. 쌓은 감위에 속 덮개를 고정한 후 바깥뚜껑을 닫는다. 뚜껑을 닫으면서 갈라진 틈새는 테이프를 붙여 막는다. 이렇게 작업된 감은 상자속의 온도에 따라 익는 정도가 조금씩 다르다. 작업이후 대개 4∼5일 지나면 상자 속의 감은 보기 좋고 맛있는 붉은빛 감이 된다. 절기로는 상강을 전후하여 감나무에도 서리가 내린다. 서리 맞은 감은 생감을 그대로 시장에 내다 팔아도 문제가 없다. 서리 맞은 생감에는 약을 이용하지 않아도 서서히 홍시로 바뀌기 때문이다.

번식은 나무에 가지를 붙이는 방법을 쓴다. 반시의 어린 가지를 이용한 접순을 고욤나무나 돌감나무의 대목에 접을 붙인다. 이렇게 번식한 감나무를 청도지역에 심으면 감속에 씨가 없고 다른 고장에 심으면 감에 씨가 생긴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생산지인 청도에서도 잘 모른다. 대부분의 과수는 하나의 꽃에 암술과 수술이 같이 있는 양성화이나 감나무는 암수 꽃이 따로 맺히는 단성화이다. 청도반시에는 암꽃과 수꽃의 피는 시기가 서로 달라서 감속에 씨가 생기지 않는다는 얘기와 다른 하나는 비, 잦은 안개, 바람, 기온과 토양의 영향을 받아 청도에서 생산되는 반시에 씨가 생기지 않는다는 설이 있다. 생산지에서는 풍토의 영향이라고 보는 사람이 더 많다. 이에 대한 비밀을 연구하여 알아내면 감 농가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 같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과수나무는 감나무라 한다. 오래도록 농촌에서 사랑 받아온 나무인 만큼 그 나무에 열리는 감에 대한 이용도 다양하다. 아이스 홍시와 감식초, 감와인, 감 빵, 감 과자, 감잎차, 감화장품이 있으며 옷감에 감물을 들여 천연 감 색깔을 내는 원료로도 쓰인다.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띠는 식품들은 베타카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감이 과일 중에서 베타카로틴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내장의 점막을 보호하는 항산화물질로 보통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예방해준다고 한다.

감을 먹을 때 떫은 맛이 나는 것은 타닌성분때문이다. 타닌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동맥경화나 고혈압에 좋고 장의 점막을 수축시켜 설사를 멎게 하는 작용도 한다. 홍시는 심장과 폐를 좋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술독을 푸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생감의 즙은 뱀이나 모기 물린 곳에 바르면 상처가 곧 낫는다고 한다. 옛사람들은 감나무의 좋은 점으로 일곱 가지를 들었다. 감나무에는 새가 집을 짓지 아니하고 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수명도 길다 했다. 여름에는 그늘이 두껍고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다우며 낙엽은 거름으로 쓰기 좋고 열매는 맛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맛만 좋은 것이 아니다. 감은 다른 과실에 비하여 인체의 뼈, 조직, 체액에 좋은 무기질과 인체의 필수 영양소인 비타민류와 구연산이 많다. 이런 신비스런 청도반시를 자주 먹으면 얼굴에 화색이 돌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