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60613.990010740222299

영남일보TV

국민의 당 김수민 리베이트 파문 일파만파, 금수저 청년 후보를 통한 공천헌금 사실로 밝혀지나?

2016-06-13 00:00

국민의 당 김수민 리베이트 파문 일파만파, 금수저 청년 후보를 통한 공천헌금 사실로 밝혀지나?
사진=김수민 의원[연합]
국민의 당이 김수민 의원 리베이트 사건 파동으로 휘청거리고 있다.


김수민·박선숙 의원의 '리베이트 의혹'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


'새정치'를 표방한 국민의당과 유력 대선주자인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창당 4개월 만에 '김수민 의원 리베이트 의혹'으로 최대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지난 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4·13 총선 과정에서 억대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국민의당 비례대표 김수민 의원을 검찰에 고발했다. 김 의원과 국민의당은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파문은 확산일로다.


우선 선관위가 고발한 이번 '리베이트 사건'의 핵심 의혹은 '▲국민의당이 지난 총선에서 선거 홍보 비용을 준 선거공보제작업체 B사, TV광고대행업체 S사가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 명의 계좌에 보낸 2억3820만 원은 어디에 쓰였나 ▲국민의당 당 지도부가 직접 불법지시를 한 것인가 즉, 이번 사건의 지시자가 당시 사무총장이었던 박선숙 의원인가 ▲사건 관여자인 김수민 의원은 왜 하필 비례대표 7번을 받았을까' 등 3가지로 간추려진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김도균 부장검사)는 지난 9일 2억3820만 원이 당에 유입됐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B사와 S사를 비롯한 6곳을 압수 수색을 해 회계장부와 전산 자료 등을 확보했다.


검찰의 이런 수사에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1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어떤 경우에도 우리 당의 운명을 검찰의 손에 넘기지는 않겠다. 검찰의 수사 내용과 방법을 주시하겠다"고 불쾌해했다.


국민의당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하게 부인했지만, S사 관계자는 김 의원의 리베이트 요구를 어느 정도 시인했다. 10일 JTBC의 보도에 따르면 S업체 관계자는 "김수민 의원 측이 광고를 연결해 주는 조건으로 대행료의 70%를 요구했다"고 밝혔으며, "김 의원 측이 6820만 원은 현금으로, 나머지 6000만 원은 체크카드로 국민의당 TF팀 관계자에게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S사는 총선 당시 국민의당에 홍보비 11억 원을 받아 광고를 집행했고, 국민의당은 광고대행 수수료로 S사에 1억7000만 원을 지급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이 가운데 약 70%에 해당하는 1억2820억 원이 김 의원이 운영하는 브랜드호텔과 국민의당 TF팀으로 유입됐다.


더불어 김수민 의원이 총선 당시 비례대표 후보 공천 신청을 하지 않았는데도 당선권인 비례대표 7번에 공천된 정황도 확인됐다. 11일 경향신문은 김 의원 비례대표 후보 공천 과정에서 "박선숙 당시 사무총장의 뜻이 작용한 것"이란 의혹을 제기했다.


김수민 의원이 비례대표 당선 안정권에 배정된 지난 3월 23일 당 안팎에선 의외라는 반응이 많았다. 비례후보 공천 신청도 하지 않은 데다가 사회적 인지도나 대표성도 낮은 30대 인사를 7번에 배정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당시 14대 신한국당(민자당, 새누리당 전신)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지낸 김현배 전 의원의 딸이란 사실이 알려지면서 '금수저' 청년 후보란 비판을 받기도 했다.


당시 김수민 의원을 영입한 인사는 김영환 전 인재영입위원장(현 사무총장)으로, 김 전 위원장이 서울 숙명여대 시각영상디자인학과 지도교수 A 씨에게 김 의원을 소개받았다. 김 의원을 천거한 지도교수 A 씨는 이번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돼 검찰에 출국금지를 당한 상태다.


하지만 국민의당 측에선 "공천 헌금 등으로 보도하면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할지 결정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으면서 비례대표 공천 의혹으로 번지는 것을 우려했다. 그런데도 지난 9일 이후 매일 새로운 의혹이 제기되면서 국민의당을 더욱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인터넷뉴스팀cyong@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