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물길 다시 열어..
![]() |
5일 오후 65년만에 남북이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에 착수했다. 조사에 참가한 윤창희 남측 공동수로단장(해병대 대령, 해사 43기)이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KBS 화면 캡처) |
지난 5일 오후 남북이 65년 만에 한강 하구에서 첫 공동 수로 조사를 실시했다.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반세기를 넘어 남북이 처음으로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를 위해 만나 평화의 수로를 다시 연 것이다.
남북은 이에 앞서 앞서 지난 9월 평양에서 채택한 남북 군사분야 합의에 따라 한강하구를 민간선박이 자유항행할 수 있는 남북 공동이용수역으로 만들고, 민간선박 안전을 군사적으로 보장하자고 약속했다.
총길이 70km, 면적 280km²인 한강하구는 별도로 남북 경계선이 없다. 정전협정에 따르더라도 남북 민간선박이 항행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남북이 한강을 사이에 두고 있고 우발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 그동안 민간선박 항행이 허용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그동안 수심 측정 등 항행을 위한 수로조사가 이뤄지지 못해 구체적인 해도조차 없다. 이날 남북이 오전 10시쯤 교동도 해상에서 만나기로 했지만 4시간을 훌쩍 넘겨 오후 3시가 돼서야 만나게 된 것도 수심 및 해로, 물때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우리 측 조사선 관계자도 "이번에 (여기까지) 올라가는 것은 나도 처음"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각각 10명씩 조사인력을 투입해 다음 달 말까지 공동 수로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수로조사선 6척은 우리 측 배를 이용하기로 했다. 또 북미관계 회복에 따라 골재 채취는 물론 어업과 관광 등 다채로운 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사는 다음 달 말까지 이뤄진다. 조사 수역은 우리 측 김포시 북동쪽 끝에서 인천 교동도 서남쪽 끝까지, 북측에선 개성시부터 황해도 연안군까지 약 280제곱킬로미터에 이른다.
정부는 12월말까지 조사를 마치고 내년 1월쯤 해도를 제작한다는 계획이다.
남북이 한강 하구를 공동 이용하면 긴장완화는 물론 경제와 환경, 관광 등 다목적 사업까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북은 각각 10명씩 조사인력을 투입해 다음 달 말까지 공동 수로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수로조사선 6척은 우리 측 배를 이용하기로 했다. 또 북미관계 회복에 따라 골재 채취는 물론 어업과 관광 등 다채로운 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사는 다음 달 말까지 이뤄진다. 조사 수역은 우리 측 김포시 북동쪽 끝에서 인천 교동도 서남쪽 끝까지, 북측에선 개성시부터 황해도 연안군까지 약 280제곱킬로미터에 이른다.
정부는 12월말까지 조사를 마치고 내년 1월쯤 해도를 제작한다는 계획이다.
남북이 한강 하구를 공동 이용하면 긴장완화는 물론 경제와 환경, 관광 등 다목적 사업까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조사에 참여한 윤창희 남측공동수로조사단장(해병대 대령, 해사 43기)은 "정전 협정 이후 65년 동안 막혔던 수로를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공동조사하는 만큼 좋은 결과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진관기자 pajika@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