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90712.010220757360001

영남일보TV

[경제와 세상] 제조경쟁력 패권 다툼

2019-07-12

성장세 둔화된 세계의 시장
파이 확보위해 경쟁 더 치열
제조업 혁신으로 승부 펼쳐
로봇·자동화, 스마트공장화
우리도 적극적으로 밀어야

[경제와 세상] 제조경쟁력 패권 다툼
전진우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정책기획실장

최근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를 관통하는 이슈 가운데 하나는 제조업 경쟁력이다. 얼마전 정부는 ‘제조업 르네상스 대책’을 마련하여 발표하기도 하였다. 현재까지 제조업은 우리 경제의 성장 엔진으로 작동해 왔다. 일자리의 원천이기도 했으며, 추격형 혁신 전략을 통해 세계 6위권의 제조강국이 된 ‘혁신지수’가 꽤 높은 국가로 평가되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최근 초연결 사회, 지능화, 플랫폼 경쟁,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 등 글로벌 경쟁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제조 경쟁력 확보는 시급한 사안이 되었다.

그동안 핵심역량인 설계, 연구개발 기능만 남기고 다른 기능은 기업 외부에 아웃소싱하는 글로벌화 전략이 당연시되어 왔다. 미국의 기업들도 이러한 신념에 따라 미국 본토를 고집하지 않고 보다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지역으로 아웃소싱을 하거나 공장을 신설했다. 그 사이 중국은 값싼 임금을 무기로 세계의 공장이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뒤늦게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첫째는 미국 내 일자리가 줄어든 것이고, 둘째는 핵심기술을 여전히 가지고 있지만, 반도체, 배터리, 전자장비 등을 토대로 열리는 전기자동차와 같은 신산업에서 제조경쟁력이 약화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직면했다. 이에 오바마 행정부는 2011년에 제조업 부흥을 위한 ‘첨단제조 파트너십’을 마련하고 미국 본토로 기업이 다시 돌아오게 하는 ‘리쇼어링’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현 트럼프 행정부도 이러한 기조는 유지하고 있고 실제 일자리가 증가하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인 유럽의 제조 강국인 독일은 ‘인더스트리 4.0’을 통해 자국의 제조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우디, 벤츠, 폴크스바겐 등 고급차의 대명사 격인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독일이지만 글로벌 ICT기업은 없었다. 애플, 구글, 아마존 등과 같은 미국의 ICT 기업들이 ‘전자 디바이스로서의 자동차’를 표방하며 시장에 뛰어들 채비를 하자 이들 내연기관 기반의 독일 기업과 정부는 대응 대책이 필요했다. 필연적이랄까. 기존 제조업에 ICT 기술을 접목해서 생산성도 높이고 기술 대응력도 높이는 방향이 잡혔고 구체화된 것이 ‘인더스트리 4.0’이었다. 몇 번의 보완과정을 거쳐 우리나라도 벤치마킹하고 있는 지멘스의 스마트공장 프로그램, 아디다스의 스피드팩토리 등과 같은 성과물이 나왔다.

이웃나라 일본도 2017년 경제산업성이 주도하여 ‘커넥티드 인더스트리’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역시 제조혁신을 위해 로봇·IoT 융합, 스마트팩토리 확대, 관련 제도 정비를 주요 골자로 추진 중이다.

미국과 함께 신기술냉전시대를 만들고 있는 당사자인 중국도 ‘중국제조 2025’를 통해 자신들만의 제조생태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간 글로벌한 경제체계에서 값싼 생산 공장의 역할을 했다면 이제는 미국이 했던 것처럼 핵심 기술은 중국이 가지고 그들이 주창하고 있는 ‘일대일로’ 실크로드에 있는 국가들을 엮어 중국 중심의 경제블록을 만들어 보겠다는 것이다. 그나마 우위에 있는 기술이 인공지능과 통신장비 등인데 미국이 제재를 가하고 있는 화웨이가 통신장비 업체이다.

세계 경제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세계가 제조업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잘 살펴보면 국내에서 대두되고 있는 문제점들은 모든 나라가 겪고 있는 혹은 겪었던 문제점들이다. 성장이 둔화된 세계시장이라는 파이를 놓고 합종연횡하며 경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자리의 문제도 글로벌 총량으로 보면 우리가 늘어나면 세계 어딘가는 줄어드는 풍선 같은 이슈이다. 그런데 제조업 경쟁력이 이러한 파이 나누기 싸움을 좌우하는 핵심이기 때문에 더더욱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 경쟁력 확보의 필수인 로봇·자동화, 스마트공장화도 속도감있게 지원해 줘야 하고 스마트 기술을 다룰 제조인력도 양성해야 한다. 기업이 없으면 일자리도, 성장도 없다는 절박함이 필요한 때다. 전진우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정책기획실장


Warning: Invalid argument supplied for foreach() in /home/yeongnam/public_html/mobile/view.php on line 399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