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0114010001738

영남일보TV

'오미크론 확산' 맞춤 전략 마련 중...하루 확진자 7천명 이상땐 '대응단계' 돌입

2022-01-14 16:05
2022011401000427500017381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대기 중인 대구시민들. 영남일보DB

오미크론 우세종화에 대비해 방역체제 전환이 이뤄질 전망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오미크론 확산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오미크론 확산세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해 11월24일 국내 첫 오미크론 확진자 발생했고 이후 오미크론 바이러스 점유율은 12.5%로 상승했다. 대구시 방역당국은 1월 둘째주(1월7일~13일) 기준 대구지역 오미크론 점유율은 19%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정부는 감염원 추적, PCR 검사, 광범위한 격리를 기반으로 한 기존 방역체제는 대응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고위험군 관리, 중증예방을 목표로 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다.

일일 확진자 5천 명까지는 기존 방역체제를 유지하면서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는 형식의 대응이 이뤄진다. 하지만, 신규 확진자가 하루 7천 명을 넘어서는 경우 '대응단계'에 돌입하고 이전과 다른 대응전략을 추진한다. 고위험군을 관리에 집중해 중증 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고,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는 유연한 방역을 시행한다.

◆ 제한적 PCR 검사, 격리기간 단축

대응단계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PCR검사 대상자를 선별한다.

유증상자, 고위험군, 65세 이상 고령층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PCR 검사를 받는다. 또한 밀접접촉 등 역학적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도 PCR 검사 대상자가 된다.

반면, 65세 이하 무증상자는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판단한다. 신속항원 검사에서 음성을 받으면 방역패스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다만 방역패스 유효기간은 24시간 이내로 제한된다.

또한 재택치료·자가격리 기간은 기존 10일에서 7일로 줄어든다. 확진 판정을 받고 7일이 지나면 격리해제 조치가 내려지고, 밀접 접촉자는 마지막 접촉일로부터 6일이 경과하고 PCR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으면 다음 날 격리 해제된다.

방역당국은 확진자 수 급증으로 의료체제 부담이 가중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이 같은 체제를 마련했다는 입장이다.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하루 확진자 7천 명이 한 번 나오면 오미크론 점유율이 50%가 안 된다고 해도 바로 대응단계를 시행할 계획이다. 오미크론은 전파율이 매우 높아서 7천 명이 바로 8천∼9천 명으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병·의원 중심 일상 진료체계 가동

진료체계도 개편된다. 기존 생활치료센터, 감염병전담병원 등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별도 의료기관을 운영했던 것과 달리, 대응단계에 돌입하면 지역 병·의원 중심의 '일상 진료체계'를 가동한다.

호흡기전담클리닉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의원 등을 코로나19 '1차 대응의료기관'으로 지정, 운영한다.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진료가 일상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유증상자는 호흡기전담클리닉과 지정 병·의원에서 검사를 받도록 하고, 경증 확진자는 동네 병·의원에서의 외래 진료·처방 후 재택치료를 받는다. 중등증 이상 환자는 감염병전담병원에 입원 치료를 받는다.

진료체계 개편 시기는 오미크론 점유율, 중증화율, 확진자수, 예방접종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계획이다.

대구시 방역당국 관계자는 "큰 틀의 방향은 정해졌지만 각 의료기관, 의원 등의 협조가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사전에 논의를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 타 국가에 비해 우세종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지만 머지않아 확진자 수 규모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대응을 해야 한다는 판단이고 준비를 충실히 해나가고 있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건강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