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1130010004068

영남일보TV

[사설] 대경硏 이별, 뒤 안 돌아보는 이혼으로 이어져선 안 돼

2022-12-01

대구경북연구원이 내년 1월 경북연구원 출범으로 사실상 해산하고 가칭 대구정책연구원과 분리 운영된다. 31년 동안 대구경북 유일의 '공공 싱크탱크'로서 적잖은 기여를 해왔다. 지역 과제 및 정책 대안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오면서 쌓은 경험과 연구 실적도 만만찮다. 두 연구원으로 분리되면 이런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구와 경북 각각에 특화·심화한 전략과 정책 대안에 보다 천착할 수 있다. 헤어지기로 결정된 사안이어서 되돌릴 수 없지만, 분리 운영의 장점은 살리되 우려되는 사안에 대한 대응은 필요하다. 특히 대구와 경북의 협업 장치를 재구성하는 과제는 빠트릴 수 없다. 대구와 경북의 '따로 그리고 함께'를 원만하게 이뤄내는 일이다. 대경연의 이별을 바라보는 지역민의 심려는 여기에 있다. 대구와 경북은 하나라는 역사성과 동질성, 정서적 유대감이 대경연의 이별로 훼손돼선 안 된다.

시도민의 심정은 착잡하다. 대경연 한 연구원의 말이 그걸 잘 짚었다. "'상생'이란 단어를 굳이 언급하지 않는 분위기다. 대구와 경북연구원 간 협업이 앞으로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아쉬움이 묻어있다. 물론 연구원들이 양쪽 눈치 보지 않고 소신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은 긍정적이다. 대구와 경북은 추구할 특성이 분명 다르다. 그러나 경북연구원과 대구정책연구원이 향후 각자도생의 길만 고집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이별의 수순에도 '상생'을 염두에 둔 절차와 배려가 있어야 한다. 공동 발전과 상생 협력에 관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 실적과 데이터베이스는 공동 이용을 못 할 이유 없다. 양 지역의 공통 과제가 있다면 별도의 TF를 만들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