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522010002866

영남일보TV

POSTECH · 미국 NEU 공동연구팀, 광(光) 손실 메타 격자를 활용한 빛 전송 성공

2023-05-22 16:01

양자 센서 연구에 활용

2023052201000706700028661
포스텍 노준석 교수. 포스텍 제공

최근 광 손실을 역으로 이용하는 '비(非)허미션(Hermitian)' 이론이 광학 연구에 적용돼 주목받고 있다.

22일 포스텍은 포스텍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와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정헌영·김석우 씨, 노스이스턴대학교(Northeastern University, NEU) 용민 류(Yongmin Liu) 교수 공동연구팀이 '비-허미션' 이론을 적용한 메타 격자 장치를 활용해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됐다.

금속에 빛을 쏘면 빛의 자기장에 의해 금속에 있는 전자들과 빛이 마치 한 몸처럼 움직인다. 이를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이하 SPP)'이라고 한다. SPP의 방향을 제어할 때 보통 '격자 커플러'라는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데, 이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입사하는 빛을 의도치 않는 방향의 SPP로 전환하기 때문에 전송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허미션' 이론을 적용했다. 연구팀은 먼저 의도적으로 광 손실을 발생시킬 특이점을 이론적으로 계산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비-허미션 메타 격자 커플러'를 제작한 후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했다.

그 결과, SPP의 방향을 제어할 수 없었던 기존 격자와 달리 메타 격자 장치는 SPP를 하나의 방향으로 전송했다. 또, 격자의 크기와 배치를 조절하여 빛과 SPP를 양방향으로 보낼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이 장치를 이용하여 빛을 SPP로 전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SPP를 빛으로 다시 전환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항원을 검출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대기 중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양자 센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공학과의 융합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이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한국연구재단, 미국국립과학재단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Warning: Invalid argument supplied for foreach() in /home/yeongnam/public_html/mobile/view.php on line 399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