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과 재생에너지 공존 필수 설비인 '친환경 전기 저장고'
영양(일월)·봉화(소천)에 1.5GW급 3조원 규모 이달 신청
![]() |
지난달 11일 영얀군 영양읍 복개천 특설무대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박형수 국회의원, 오도창 영양군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영양 양수발전소 유치 범도민 결의대회'가 열리고 있다. 영남일보DB |
경북도가 지난 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년)'에 신규 양수발전소 1.75GW가 반영됨에 따라 영양과 봉화에 추진 중인 건설비 3조원 규모의 양수발전소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양군은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일월면 일대에 1GW 2조원 규모, 봉화군은 한국중부발전에서 소천면 일대 0.5GW 1조원 규모로 산업부의 양수발전소 유치 공모신청을 준비 중이다. 경북도는 이달 중 산업부에서 신규 양수발전소 사업자 선정 관련 공고를 하면, 올 하반기 중 선정 절차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양수발전소는 상·하부 댐으로 구성되며 특정시간대에 남는 잉여전력으로 하부 댐의 물을 양수해 상부 댐에 저장한 후 전력공급이 부족한 시간에 전력을 공급해 친환경 '전기 저장고'로 불린다. 이에 원전 및 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하는 필수 공존 설비로 급부상하고 있는 발전원이다.
한편 올해 초 한국수력원자력에서는 전국 양수발전 후보지를 사전조사하고 민간 입지선정위원회 평가를 거쳐 영양군을 최종후보지로 선정했다. 한국중부발전에서도 봉화군과 양수발전소 조성 MOU를 체결하고, 신규 양수발전소 공모신청을 준비 중이다.
이번 심사에 영양·봉화 양수발전소가 선정되면 경북에는 기존 청송·예천 2곳에 이어 12년 만에 3, 4번째 양수발전소를 유치하게 되는 것이다.
2개의 양수발전소가 유치되면 전국 양수발전소의 30%를 경북이 차지하는 양수발전소 1위 지역이 된다. 경북은 원자력발전소도 전국에서 가장 많다.
경북도는 양수발전소가 유치되면 두 지역의 소득증대와 일자리 창출, 생활환경 개선, 관광자원화 등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양수발전소 유치를 통해 주변 지역과 연계한 경북의 대표적인 복합관광지로 새롭게 개발하고, 연관 산업 육성 등으로 경북이 주도하는 확실한 지방시대를 열어갈 것"이라며 "전국 지자체에 지방소멸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사회에 새 희망을 주는 모범사례가 되도록 영양, 봉화 양수발전소 유치를 위해 중앙정부 건의와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