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709010001006

영남일보TV

경북도·경주시, 한국재료연구원과 SMR 소부장 산업생태계 구축 '맞손'

2023-07-09 13:38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 협력…전무인력 양성
SMR 제작지원센터 설립 통한 SMR 기업 지원 및 유치기반 마련도

2023070901000241700010061
이철우(왼쪽 넷째부터) 경북도지사와, 이정환 한국재료연구원장, 주낙영 경주시장이 지난 7일 경북도청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와 경주시가 한국재료연구원과 SMR(소형모듈원자로) 소부장 산업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경북도는 경주시와 함께 지난 7일 도청에서 원자력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 국내 최고 기술력 보유 글로벌 종합 소재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경북도·경주시·한국재료연구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소형모듈원자로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 △소형모듈원자로 제작지원을 위한 기반구축 △소형모듈원자로 공인 인증체계 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인력 양성 △한국재료연구원 경북센터 설립 등 SMR 소부장 산업거점 마련을 위해 협력한다.

이미 경북도와 경주시는 SMR 연구개발과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 국내 독자 모델인 혁신형 SMR 등 차세대 원자로 핵심기술 개발을 담당할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경주 감포에 유치했고, 현재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공사가 한창이다.

또 지난 3월 정부의 지역 첨단산업 거점 마련을 위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에 경주 SMR 국가산단이 최종 선정됐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개발사업자로 선정하고 연내 예비타당성조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12대 국가전략기술에도 포함된 SMR은 전세계 71종이 개발 중이며, 발전과정에 탄소배출이 없고 안전성이 대폭 강화돼 탄소중립시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향후 2035년 기준 세계시장 규모는 62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SMR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SMR의 경제성 확보가 관건이며, 복잡한 내부 기자재 구조와 모듈화 된 설계 등 제작 특성을 감안할 때 로봇용접, 3D프린팅 등 혁신제조기술을 적기에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도는 한국재료연구원과의 협력을 통해 경주 국가산단 내 SMR 제작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혁신제조기술을 활용한 SMR 제작기반을 마련하고, 제작기술 표준화를 위한 SMR 혁신기술 인증센터 및 테스트베드를 단계적으로 구축하는 등 SMR 소부장 산업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협약식에 참석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향후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서 우리 기술로 개발될 SMR이 경주 국가산단에서 만들어져 세계시장으로 팔려나갈 것"이라며 "SMR 소부장 산업생태계 구축으로, 경북 원자력 3.0시대를 착실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