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724010003185

영남일보TV

생활공간 혁신 위한 '대구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전략'은

2023-07-26

의료, 직장, 주거, 교육, 교통, 문화, 안전 등 7대 수요

근거리, 스마트, 자족형, 시민참여 동반 모델 제시

생활공간 혁신 위한 대구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전략은
대구 생활공간 혁신을 위한 7대 기본수요와 7대 전략. 대구정책연구원 제공
이른바 '대구형 스마트 동네 생활권'을 구현하려면 근거리·스마트·자족형·시민참여형 서비스가 일괄적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대구정책연구원 이상인 스마트생활권 전략랩단장은 24일 대구 생활공간 혁신을 위한 '대구형 스마트동네생활권 7×7전략' 보고서를 내왔다.

이 전략은 올초 정부가 발표한 '도시계획 혁신방안'의 N분(分) 생활권 조성을 위한 생활권 도시계획의 제도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대구형 스마트동네생활권 7×7전략은 의료·직장·주거·교육·교통·문화·안전 등 7대 기본수요를 중심으로 근거리·스마트·자족형·시민참여 서비스가 동반되는 모델을 제시하는 게 골자다. 7대 전략은 △동네생활권 설정 및 DB 구축 △생활권 맞춤형 기본계획 수립·실천 △스마트기술의 접목 △주민참여·리빙랩 운영 △동네생활권 관리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상시모니터링 진행 △가이드라인·제도·파트너십 기반 구축이다.

먼저 행정동을 기준으로 반경 1.5㎞를 설정하면 대구 도심은 크게 50개의 동네생활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동네 생활권별 인구·입지·주민 선호도·시설 노후도 등 여건 분석, 투자우선 순위, 행·재정계획 등 맞춤형 기본계획을 수립·실천하는 게 가능하다.

또 IT, 저탄소 에너지 기술 등 다양한 스마트기술을 접목하면 중장기적으로 지역의 첨단 신산업 혁신·신산업 일자리 창출·문화적 역량 확대와 연계한 자족형 동네생활권·스마트 생활권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주민참여 리빙랩을 운영할 경우, 동네주민의 선호가 높은 생활서비스와 필요한 스마트기술을 우선 확충할 수 있다. 기존 행정복지센터·도시재생지원센터 연계 활용한 동네생활권별 생활서비스 관리플랫폼을 운영하면 동네주민과 상인 등 생활서비스 수요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동네생활권별 생활서비스 여건 및 개선 상황에 대한 상시모니터링을 통해 주민 만족도조사, 취약한 생활서비스를 개선하고 우수한 생활서비스를 고도화할 수도 있다.

이상인 단장은 "동네생활권 맞춤형 기본계획을 3년단위로 수립하고, 명품 도서관, 명품돌봄시설 등 생활권별 브랜드 생활서비스시설을 중점 추진해야 한다"며 "특히 IT, 저탄소에너지 등 스마트 기술을 적극 접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원은 이같은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대구시 구·군이나 행정동을 대상으로 7대 기본수요와 생활서비스의 충족 및 입지 현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의료 측면은 대학병원에 인접한 중구 성내2동·3동과 동인동, 달서구 죽전동, 남구 대명1동·10동, 북구 관음동의 생활의료서비스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직장·일자리의 경우 달서구·북구의 밀집도가 높았다. 지난해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은 달성군· 중구가 높고, 취업자 수는 달서구·북구가 많았다.

주거 측면은 30년 이상 노후주택비율(2021년 기준)은 서구(47.9%)·남구(47.1%)가 높았다. 빈집 비율은 중구(9.7%), 달성군(7.6%)이 높았다. 대구평균은 4.4%였다. 자가주차장 확보율(2020년 기준)은 달성군이 가장 높았으며, 통근·통학 대중교통 이용률은 서구(30.2%)·남구(29.6%)가 높았다.

기본수요 생활서비스 접근성은 3차순환도로(두류공원네거리~만촌네거리) 내부 생활권과 북구 칠곡지구, 달서구 용산·월성 등의 접근성이 비교적 우수했다. 인구 구조는 대부분 주거지역의 노인인구가 20% 이상이었다. 달서구 유천동·월성동, 달성군 다사읍 세천·유가읍 테크노폴리스 지구, 동구 혁신지구, 수성구 연호지구에 14세 이상 유소년인구가 다수 거주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손선우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