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의 직무 유기가 도를 넘었다. 헌법재판소가 지난해 7월 헌법 불합치 판결을 내린 선거법 조항의 개정이 처리 시한(7월31일)을 넘겼다. 결국 관련 법 조항이 당장 효력을 잃게 되는 상황이 도래했다. 헌재가 '1년'이란 충분한 유예 기간을 줬는데도 국회가 의무를 방치했다. 이뿐만 아니다. 법으로 정한 '선거구 획정' 시한이 이미 석 달 지났다. 법을 만드는 국회가 법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을 스스로 만들고 있다. 부끄러운 일이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먼저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새로운 협의 일정을 제안했으니 기다려보겠다. 윤 원내대표는 "입법이 지연됨으로 인해 어떤 이유로도 국민을 우려하게 했다는 점에서 반성해야 한다"면서 "8월 초 입법 논의를 시작하고 8월 중 본회의 의결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야당도 이에 호응해 길 잃은 선거법 개정 협상을 이번 주부터 제자리로 돌려야 한다.
쟁점이 된 선거운동 관련 광고물 설치·진열·배부 행위나 집회·모임 규모 등에 국한되는 게 아니다. 22대 총선의 선거구 획정 시한은 3개월이나 지났다. 이를 두고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거대양당의 침대 축구'라고 비아냥댔다. 중대선거구제 도입 여부는 이른 시일 내 결론을 내려야 일선 선거구의 혼란을 막는다. 21대 선거에 도깨비처럼 출현한 '비례위성정당' 같은 코미디 정치를 끝내자면 이 또한 법을 손봐야 한다. 지역구 후보조차 내지 않는 정당이 막대한 선거 보조금을 타 가는 불합리한 제도도 깨야 한다. 사표 방지와 비례성·대표성 강화는 오랜 숙제다. '선거법 개정'과 '선거구 획정'을 늦어도 8월 일괄 마무리하길 바란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먼저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새로운 협의 일정을 제안했으니 기다려보겠다. 윤 원내대표는 "입법이 지연됨으로 인해 어떤 이유로도 국민을 우려하게 했다는 점에서 반성해야 한다"면서 "8월 초 입법 논의를 시작하고 8월 중 본회의 의결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야당도 이에 호응해 길 잃은 선거법 개정 협상을 이번 주부터 제자리로 돌려야 한다.
쟁점이 된 선거운동 관련 광고물 설치·진열·배부 행위나 집회·모임 규모 등에 국한되는 게 아니다. 22대 총선의 선거구 획정 시한은 3개월이나 지났다. 이를 두고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거대양당의 침대 축구'라고 비아냥댔다. 중대선거구제 도입 여부는 이른 시일 내 결론을 내려야 일선 선거구의 혼란을 막는다. 21대 선거에 도깨비처럼 출현한 '비례위성정당' 같은 코미디 정치를 끝내자면 이 또한 법을 손봐야 한다. 지역구 후보조차 내지 않는 정당이 막대한 선거 보조금을 타 가는 불합리한 제도도 깨야 한다. 사표 방지와 비례성·대표성 강화는 오랜 숙제다. '선거법 개정'과 '선거구 획정'을 늦어도 8월 일괄 마무리하길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