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821010002635

영남일보TV

안동시 공무원노조, 민노총·전공노 탈퇴 움직임

2023-08-22
안동시 공무원노조, 민노총·전공노 탈퇴 움직임
안동시청 전경<안동시 제공>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북지역본부 안동시지부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전공노 탈퇴 및 조직형태 변경을 추진한다.

이는 잦은 정치적 투쟁과 상하부 조직 간 소통 부재, 무리한 분담금 부담이 주된 이유로 알려졌다.

유철환 안동시지부장에 따르면 공무원 내부 행정시스템에 '연합단체(민주노총·전공노) 탈퇴 및 조직형태 변경에 대한 입장문'을 게시했고, "임시총회를 열어 찬반투표를 통해 조직형태 변경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입장문은 △정치인 석방·보안법철폐·사스 반대 운동 등 민주노총·전공노의 잦은 정치적 투쟁 △현장 조합원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은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전공노 운영방식 △조합·본부에 1인당 1만1천 원을 납부해야 하는 분담금에 대한 지부 재정 부담을 탈퇴의 주된 이유로 밝혔다.

특히 민노총과 전공노는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석방, 사드 반대와 함께 최근엔 윤석열 정권 퇴진, 이상민 행안부장관 파면 요구 등 정치적 색채가 드러나는 행위를 이어가고 있어 일선 지부의 공무원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몇몇 중앙간부의 의견으로 전공노의 정책이 결정되면서 젊은 공무원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각 지부에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정치투쟁을 일삼는 상급 단체에 납부해야 하는 분담금에 대한 당위성이 점차 사라지면서 조합원들 사이에서 거부감을 가지는 분위기도 조성되고 있다.

안동시지부의 경우 조합비 1만5천 원 중 전공노 8천 원, 경북본부 3천 원을 분담금으로 납부할 경우 27%도 안되는 금액만 조합원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강원도 원주시는 2021년 찬반투표를 통해 전공노를 탈퇴했다. 전주시는 찬성이 2/3에 미치지 못해 투표가 부결돼 복수노조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최근 공무원뿐만 아니라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화섬노조 롯데케미칼 대산지회 등 각 분야에서 민주노총을 탈퇴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산하 노조의 집단탈퇴 금지 규약을 시정하라'는 고용노동부의 시정명령으로 노조 탈퇴가 쉬워진 상황에서 원주시에 이어 전공노를 탈퇴하는 지부가 2년 만에 다시 발생할지, 또 이번 탈퇴가 다른 시·군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기자 이미지

피재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