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920010002530

영남일보TV

[더 나은 세상] '함께' 글을 쓴다는 것(2)

2023-09-21

함께 글쓰는 사무실 글터디

단순히 글만 쓰는 모임 아닌

서로 흉금 터놓는 그런 사이

이모 조카뻘 나이 차에도

글을 통해 친구로 만들어줘

2023092001000638800025301
정혜진 변호사

지난 3월16일자 칼럼에 '함께 글을 쓴다는 것'이라는 제목의 글이 나온 바 있다. 그 칼럼에서 나는 옛 동료 변호사(편의상 'A'라고 한다)가 책을 낸 이야기를 전하면서 우리가 같은 사무실에서 일할 때 '글터디'라는 이름으로 함께 글을 썼던 시절을 추억했다. 같은 제목의 후속편인 이 글은 우리 사무실 글터디의 또 다른 멤버 변호사(편의상 'B'라고 한다)가 모두가 부러워하는 더 좋은 일자리를 잡아 우리 사무실을 곧 떠나게 된 일을 계기로 함께 글 쓰는 것의 좋은 점을 다시 한번 더 강조하려고 쓴다.

5년 전 나와 A가 처음 글터디를 시작했고, 그 이듬해 B가 합류했다. 우리 셋은 모두 같은 사무실에서 비슷한 일을 하는 변호사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각자 성장해 온 사회적·문화적·시대적 환경이 매우 달랐다. 지방에서 태어나 지방에서 대학교를 나오고 그 지방에서 15년 직장생활을 하다 로스쿨이 개원하던 해 운 좋게 로스쿨에 입학해 40대에 변호사가 된 나와는 대조적으로 서울내기인 B는 서울 강남의 어느 여고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국내 최고의 명문대 법대를 졸업한 후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전형적인 엘리트 법조인 코스를 밟아온 20대 젊은 변호사였다. B는 나와 변호사 기수로는 6년 차이지만 나이로는 열여섯 살 아래였다. 나이로는 나와 B 중간에 있는 A는 시골 산골에서 할머니 손에 자라며 공부와는 담을 쌓은 학창 시절을 보냈는데, 지방 사립대 법대에서 뒤늦게 공부에 소질이 있음을 깨닫고 사법시험을 통과했다.

함께 글을 쓰는 모임의 가장 좋았던 점 중의 하나는 이렇게 서로 자라온 환경이 다르고 변호사가 되기까지 경험한 세계가 매우 다름에도 불구하고, 더불어 이모-조카뻘의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친구로 만들어 주었다는 것이다. '지인' 말고 친구, 그러니까 기쁜 일은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어려울 때 고민을 이야기하고 서로 위로해주고 조언해 줄 수 있는 그런 친구 말이다. 서로의 글을 읽고 그 글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글터디는 단순히 글만 같이 쓰는 모임이 아니었다. 동료가 쓴 글을 읽다가 내 속에 깊이 잠들어있던 어떤 상처가 깨워지기도 했고, 생각지도 못한 시각으로 지난 일을 다시 보게도 되었다. 글터디 중의 그런 수다가 일상의 삶에도 영향을 주었기에 우린 글을 통해 친구가 될 수 있었다.

뜬금없이 들리겠지만, 나는 가끔 우리 변호사 사무실을 배경으로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상상을 해 본다. 주인공은 나와 A, B, 세 사람이다. 변호사가 된 과정도, 살아온 문화적 배경도, 경험한 시대적 배경도 다른 세 사람의 일과 글터디가 드라마의 소재다. 드라마에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겪는 온갖 종류의 '세상에 이런 일이'식의 형사사건이 에피소드별로 등장하지만, 드라마를 관통하는 큰 줄거리는 우정이다. 50대, 40대, 30대로 각자 나이가 다른 여성들이 일하면서, 글을 쓰면서 일과 글을 공유함으로써 쌓아가는 우정 말이다. 내 생각엔 정말 재밌는 드라마가 될 것 같은데, 내게 공감하는 드라마 제작자가 있을지는 모르겠다.

B가 떠나면 우리 사무실 글터디 초창기 멤버 중에는 나만 남는다. 하지만 우리 사무실 글터디는 여전히 건재하고 있다. 누군가 떠나면 또 새로운 멤버가 글터디에 들어온다. 그건 아마도 지난 5년간 직장 동료를 넘어 서로 흉금을 터놓는 친구가 되는 글터디의 위력을 알기 때문일 것이다.

정혜진 변호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