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측 "치료비 전액 지원, 즉시 방역 소독"
유럽에서도 빈대 확산으로 골머리
![]() |
계명대 기숙사동 빈대. 연합뉴스 |
대구의 한 대학교 기숙사에서 빈대가 출몰해 거주하던 학생이 물림 피해를 호소했지만, 대학 측이 뒤늦게 방역에 나서면서 논란이다.
19일 계명대 에브리타임 익명게시판 등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쯤 신축 기숙사(명교생활관)에 생활하는 한 학생이 '베드버그'(빈대)로 인한 피해를 호소했다.
그는 "간지러움, 두드러기, 고열로 대학병원을 찾았고 염증 수치가 400 이상 올라갔다"며 "매트리스 아래서 큰 벌레를 찾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청소 관계자가 내가 음료수를 흘려서 베드버그와 곰팡이가 생겼다고 했는데, 음식으로 생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매트리스 아래쪽 커버 위에 수 마리의 빈대 추정 벌레를 촬영해 게시판에 첨부하기도 했다. 같은 날 또 다른 익명의 사용자는 해당 게시판에 벌레에 물린 것으로 보이는 사진을 올리고 "지난 9월 모기에 심하게 물린 줄 알고 피부과를 찾았는데 의사도 뭔지 몰랐다"며 "이거 빈대(에 물린 게 아니)냐"고 질문했다.
빈대 출몰에 학생들이 대학 기숙사 행정실에 방역을 요청했으나 학교 측은 쉬쉬했다는 글이 재차 올라오자 파장이 커졌다.
![]() |
19일 대구 달서구 계명대학교 기숙사에서 방역업체 관계자들이 빈대(베드버그) 박멸을 위해 방역 소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학 측은 뒤늦게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이날 오전 기숙사동을 소독했다. 또 긴급 간부 대책 회의를 열고 강의실까지 대학 전체를 소독하기로 했다.
계명대 관계자는 "문제가 된 방은 직전 영국 국적 출신 학생이 사용했다. 현재 그 방은 비워뒀다"면서도 "단기 교환학생이 거주 이후 침구류와 방역 소독을 마친 뒤에 일어난 일이어서 전문가들도 진원지가 영국 유학생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영국·프랑스 등 유럽에서도 빈대(베드버그) 확산으로 방역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영국 언론 등에 따르면 지하철 좌석 시트에 빈대가 서식해 이용객들을 통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는 영국 지하철 빅토리아 노선에서 빈대가 승객의 바지를 타고 올라오는 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 내년 7월 파리올림픽이 열리는 프랑스도 빈대의 확산을 우려하고 있다.
빈대는 몸길이가 육안으로 보기 힘든 9㎜ 이하의 야행성 곤충으로, 사람을 비롯한 온열 동물의 피를 빨아 먹는다. 주로 매트리스 아래나 목재 프레임 등에 서식하며 밤이 되면 나타난다. 빈대가 혈관을 찾아 이동하며 물기 때문에 일렬로 자국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