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전국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 진원지가 대구라는 루머가 금융권과 새마을금고 내에서 나돌고 있다고 한다. 대구지역 12개 새마을금고에서 진행한 다인건설 집단대출 부실이 뱅크런 사태의 시발점이라는 것. 사실과 다른 뜬금없는 이야기다. 알다시피 뱅크런이 전국적으로 시작된 건 경기도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 폐업 소식이 알려지면서다. 그럼에도 이 같은 가짜뉴스가 퍼지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일부 수도권 금고가 뱅크런 사태 책임을 대구지역 새마을금고에 전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대구지역 새마을금고에 대한 루머의 핵심은 2016년부터 다인건설에 2천600억원을 집단대출해 주면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지 않아 뱅크런 사태가 터졌다는 것이다. 대구지역 새마을금고는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지역 금고 잘못도 있지만 그보다는 규정까지 변경해 대출 이자율을 0%로 만들어 준 중앙회 시스템이 근본 문제"라는 것. 당시 상황을 되짚어보면 대구지역 새마을금고 주장이 백번 옳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고위험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 뒤늦게 뛰어들어 일선 지역 금고를 중심으로 무리하게 대출규모를 늘렸던 게 화근 아니었나. 뱅크런 위기를 자초한 중앙회가 책임을 통감하기는커녕 일선 금고 탓으로 돌리고 있으니 어처구니가 없다.
새마을금고 위기는 도덕적 해이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임직원 횡령·배임·사기 사건이 끊이지 않아 '서민 금고'가 아닌 '비리 금고'로 불릴 정도다. 심지어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마저 금품 수수 혐의로 기소돼 회장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새롭게 구성되는 중앙회 집행부는 남 탓은 접고 자성과 쇄신의 길을 가야 한다.
대구지역 새마을금고에 대한 루머의 핵심은 2016년부터 다인건설에 2천600억원을 집단대출해 주면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지 않아 뱅크런 사태가 터졌다는 것이다. 대구지역 새마을금고는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지역 금고 잘못도 있지만 그보다는 규정까지 변경해 대출 이자율을 0%로 만들어 준 중앙회 시스템이 근본 문제"라는 것. 당시 상황을 되짚어보면 대구지역 새마을금고 주장이 백번 옳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고위험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 뒤늦게 뛰어들어 일선 지역 금고를 중심으로 무리하게 대출규모를 늘렸던 게 화근 아니었나. 뱅크런 위기를 자초한 중앙회가 책임을 통감하기는커녕 일선 금고 탓으로 돌리고 있으니 어처구니가 없다.
새마을금고 위기는 도덕적 해이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임직원 횡령·배임·사기 사건이 끊이지 않아 '서민 금고'가 아닌 '비리 금고'로 불릴 정도다. 심지어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마저 금품 수수 혐의로 기소돼 회장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새롭게 구성되는 중앙회 집행부는 남 탓은 접고 자성과 쇄신의 길을 가야 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