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1108010001124

영남일보TV

대형마트 평일휴업 전국 확산 조짐…지자체, 대구시에 문의쇄도

2023-11-10

부산·대전·충남, 서울 일부 區

변경 이후 지역상권 매출 현황

변경 절차 등에 대해 자문 구해

202302281445165350046536_0.jpeg
대구 시내 한 대형마트에 휴무일이 월요일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배너가 설치돼 있다. 영남일보DB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휴일이 아닌 평일로 바꾼 대구시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려는 전국 지자체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2월 특·광역시 최초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일요일→ 월요일로 변경했다.

9일 대구시에 확인결과, 최근 부산시와 대전시, 충남도, 서울시의 일부 자치구들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변경과 관련해 문의했다. 이들은 휴업일 변경 이후 지역 상권의 매출 현황을 요청하거나, 변경 절차 등에 대한 자문을 구했다.

2012년 도입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은 그간 실효성 논란에 시달렸다. 전통시장이나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됐지만 효과는 신통치 않았다. 오히려 일부 온라인 쇼핑업체들만 덕을 봤다. 특히 주말에 쇼핑하려는 시민들의 불편만 가중됐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동력을 잃어갔다. 게다가 윤석열 정부가 규제 개혁 과제 중 하나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규제 완화를 선택하면서 한때 폐지론까지 불거졌다.

그러던 중 대구시가 의무휴업일을 평일(월요일)로 옮겼다. 이후 대형마트는 물론,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등 지역 상권이 활기를 찾았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대구시가 지난 9월 발표한 '의무휴업일 분석 결과'를 보면, 휴업일 변경은 지역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매출액은 각각 30% 이상 증가했다. 슈퍼마켓·음식점 등 주요 소매업 매출도 20%가량 올랐다. 대구시민 10명 중 9명은 변화에 만족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이 같은 결과에 주목하며 지지부진했던 의무휴업일 변경을 재논의하기 시작했다. 전국 확산의 신호탄을 대구가 쏘아올린 셈이다. 서울시는 지난달부터 평일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대전시와 세종시도 논의에 들어갔다. 부산시도 내부적으로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 지자체별 자율화를 넘어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자, 여당인 국민의힘 내에선 민생정책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완화(평일 전환) 혹은 폐지가 거론되고 있다.

윤정희 대구시 민생경제과장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일요일에서 월요일로 전환한 이후 지역 소매업종과 음식점 매출이 증가했다"며 "소비자들이 마트에서 장을 보고 인근 음식점을 이용하는 등 지역 경제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지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