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실시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영역 22번 문항을 두고 '킬러 문항'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시험이 끝난 뒤 각종 수험생 커뮤니티에는 수학 22번 문항을 두고 "이게 킬러가 아니면 뭐가 킬러냐", "최근 수능 중에서 제일 어려웠다"는 반응이 올라왔다.
논란이 되고 있는 22번 문항은 미분계수의 부호를 고려해 조건을 만족시키는 그래프의 개형을 추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수식도 구해야 하는 문제다.
EBS 현장교사단은 22번 문항에 대해 "작년 킬러 문항 수준까지 정답률이 떨어지거나, 교육과정에 어긋나고 사교육 요소가 가미된 문제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계산이 복잡하지 않고 여러 개념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
하지만 수험생 커뮤니티와 입시 업계에서는 "교묘하게 어렵다 '사실상 킬러 문항'"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 입시업체 수학강사 역시 유튜브를 통해 문제 풀이를 생중계하는 과정에서 22번 문항 풀이에 20분 이상을 쏟아붓기도 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킬러문항의 정의 자체가 모호하고 정량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논란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입시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험생 입장에서는 그냥 킬러문항이라고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EBS 강사인 심주석 인천 하늘고 교사는 "단답형 정답률을 9월 모의평가보다 조금 더 강화해 최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했다"면서 "22번이 손을 못 댈 정도의 문항은 아니고, 수험생 본인이 얼마만큼 연습해봤는지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 수능은 '킬러 문항'을 배제했음에도 불구하고 변별력 있는 문제가 많아 '불수능'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용덕기자 sydkjs@yeongnam.com

서용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