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대구 수성구 만촌네거리 지하통로 공사 현장. 최시웅기자
14일 대구 동구 동대구역 지하통로 공사 현장. 최시웅기자
14일 대구 동구 동대구역 지하통로 공사 현장. 최시웅기자
대구시와 대구 동구청이 한 시행사가 아파트 건립 후 기부채납을 조건으로 건설 중인 동대구역 앞 지하통로 공사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오는 11월 입주가 시작되는 해당 아파트의 준공 승인 시점이 현재 당면한 사안이다. 이 지하통로 공사는 계획대로라면 내년 말쯤 마무리될 예정이다. 아파트와 지하통로 공사를 같이 완료하는 조건으로 사업승인을 해줬지만, 지하통로 공사가 계속 지체되고 있는 이른바 '만촌네거리 트라우마'가 있는 대구시로선 신경을 곧추 세울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15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동대구역 건너편에 위치한 A아파트(322세대)는 오는 11월 중 입주를 시작한다.
사업 초기 대구시 등은 교통약자 보행환경 개선, 도시철도 이용 편의 증진 등 공공기여시설 확보 차원에서 동대구역과 연결될 지하통로 및 지하철 출입구 추가 설치 공사를 요구했다. 이에 A아파트 측은 110억원을 들여 기부채납 방식으로 동대구역 지하통로를 조성키로 했다.
다소 우려되는 것은 A아파트 지하통로 조성 공사는 아파트 준공 시점과 달리 내년 말 완공된다는 점이다. 시행사 측은 당초 지하통로 준공 예정일을 올해 8월로 염두해뒀지만, 추가 공사 등 사업계획 변경 논의 과정에서 2026년 연말로 정했다. 지난 7월쯤 착공했고, 현재 출입구 설치만 완료된 상태다. 아파트 입주 시기보다 약 1년여 늦게 지하통로가 완공 예정이어서 대구시는 적잖이 고민하고 있다. 입주민들이 지하철 이용에 불편을 겪을 수 있고, 공사 기간 인근 교통체증이 일어날 수 있다. 만촌네거리의 경우 B아파트와 지하통로 조성공사 종료시점이 본래 같았지만, 지하통로 공사가 늦어져 아직도 빈축을 사고 있는 상황이 눈앞에 아른거려서다.
B아파트의 경우, 기부채납 형태로 건설 중인 지하통로 공사 완공 시점은 내년 말이다. 당초 2022년 11월에서 올해 말로 연기됐다가, 다시 사업 마무리 시점이 내년 말로 변경됐다. 만촌네거리 지하통로 공사는 아직도 하세월이다.
특히, 만촌역 B아파트는 결과적으로 지하통로 확보에 앞서 기초단체(수성구청)의 준공 승인이 먼저 이뤄지면서, 대구시가 지하통로 건설 공기 단축을 압박할 수단을 놓친 케이스다. 사업의 '허가·승인을 내주는 곳'과 '감독·통제하는 곳'이 분리된 행정 시스템으로 인해 사업 운영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대구시와 동구청은 A아파트 준공 승인 시점을 놓고 머리를 싸매고 있다. 준공 승인이 늦춰지면 주민들 금전적 피해가 우려된다. 아파트 준공 승인이 나야 입주민들이 잔금을 치르기 위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어서다. 승인이 늦어지면, 기존 중도금 대출의 만기를 연장하거나 개인 대출로 잔금을 조달해야 해 금융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대구시의 한 관계자는 "아파트와 지하통로 완공 시점이 서로 다르지만 만촌네거리의 나쁜 선례가 있다 보니 이번 동대구역도 상황도 행여 주민 피해가 생길까 걱정하고 있다"며 "상황이 매끄럽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A아파트 시행사 측은 사업 일정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 시행사 관계자는 "만촌네거리 지하통로와 달리 우리는 아파트와 지하통로 사업계획 승인을 따로 받았다. 지하통로 건설이 아파트 준공 승인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특히, 지하통로 사업계획은 올해 4월 최초 승인 당시 내년 말 준공 예정으로 이미 결정된 사항"이라며 "입주민에게 더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상가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