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수지 7개월째 흑자…서비스수지 -12억5천만달러
1∼10월 경상수지 233억7천만달러 흑자…전년 대비 85% 수준
![]() |
월별 국내 경상수지 현황. <한국은행 제공> |
지난 10월 국내 경상수지가 6개월 연속 흑자가 낸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선 데다 수입이 소폭 줄어든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10월 경상수지는 68억달러(약 8조9천624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 2021년 10월(79억달러) 이후 2년 만에 흑자 폭이 가장 컸다. 경상수지 중 비중이 가장 큰 상품수지(수출-수입)가 7개월째 흑자 행진을 지속하고, 서비스·이전소득수지의 적자 폭이 축소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9월(54억2천만달러)에 비해 흑자 폭이 커졌고, 올해 가장 경상수지 성적이 좋았던 올 6월(58억7천만달러) 흑자 규모를 웃돌았다. 다만 1∼10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233억7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273억8천만달러)의 약 85% 수준이다.
경상수지는 6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지속 중이다. 지난 1월 역대 최대인 42억1천만달러 적자를 냈고, 2월에도 5억2천만달러 적자가 발생했다. 3월에는 1억6천만달러로 적자를 면했지만, 한 달 만에 7억9천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5월에는 다시 흑자로 돌아선 뒤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한 나라의 기초체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나뉜다.
지난 10월에는 수출과 수입의 격차를 나타내는 상품수지의 개선세가 돋보였다. 상품수지는 53억5천만달러 흑자로, 7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상품수지 흑자 폭은 1년 전(-9억5천만달러)보다는 63억달러 커졌고, 전월(74억2천만달러)대비 20억7천만달러 줄었다.
같은 기간 수출은 570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7.6% 늘었다. 수출은 지난해 9월 이후 13개월 연속 감소하다가, 1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