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올해 169억원 투입해 청도 등 6개 시군에 공공처리시설 9개소 신·증설
![]() |
경북 곳곳에 들어설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이 고질적인 축산 악취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경북 성주에 있는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올해 가축 분뇨 공공처리시설 9개소의 신·증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공공처리시설이 고질적인 축산 악취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30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도는 올해 약 169억원(국비 134억원)을 투입해 청도 등 6개 시·군에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9개소를 신·증설한다. 상주에 2곳, 청도에 1곳을 신설하고 안동과 의성, 성주, 칠곡에선 기존 시설물을 증설하거나 개선하기로 했다.
이번에 예산이 확정된 청도지역 농가에선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물 설치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청도에선 4만8천여마리의 돼지가 사육되고 있지만, 그동안 공공처리시설이 없어 농장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종찬 한돈협회 청도회장은 "공공처리시설이 들어서면 농장마다 쌓여있는 축분을 제때 회수할 수 있어 환경적으로 좋아진다"라며 "완공되면 농장 주변 민가의 악취 문제도 일정 부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도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확충이 축사로 인한 악취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인근 주민들의 생활 환경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공공처리시설은 악취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경산과 영천, 고령 등에 포진해 있다. 올해 1월 기준 경북 15개 시·군에 17개소의 가축 분뇨 공공처리장이 위치한다. 일일 최대 1천840㎥ 규모의 가축 분뇨를 처리할 수 있다.
가축분뇨 처리 방식 개선은 정부의 주요 과제이기도 하다. 앞서 정부는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성장 전략을 토대로 오는 2030년까지 가축 분뇨 정화처리 비중을 2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현재 경북도내 정화 처리 비중은 전체 가축 분뇨의 12.3%에 불과해 관련 처리 시설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노후화한 기존 가축분뇨 공공 처리시설의 현대화 및 일부 주민 반발은 풀어야 할 숙제로 손꼽힌다. 청도 지역에선 공공처리시설 설치 장소문제로 여전히 갈등을 겪고 있다. 20년 이상 운영 중인 안동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2001년)을 비롯해 칠곡·김천(2007년)의 시설물은 노후화해 처리 용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안동에서 돈사를 운영 중인 진모 씨는 "개별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운 소규모 농장의 경우 공공 처리시설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 아무래도 비용 등의 문제로 이용을 꺼리게 된다"라며 "처리 용량을 늘려 소규모 농가가 마음 편히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비용 등의 문제가 개선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성우기자 parksw@yeongnam.com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박성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