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8년까지 3기 신규건설 계획…부지 등 만만찮은 절차 고려
천지 1·2호기 대안으로 떠올라
![]() |
울진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를 방문한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신한울 3,4호기 신축예정부지 앞에서 원자력 사업추진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전력수급 전망과 발전원 확충 계획(2024~2038)에 따르면 정부는 2038년까지 최대 3기의 신규 원자력발전 시설을 건설하고, 2035년부터는 발전설비 중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처음 투입한다.
대형 원전의 경우, 부지 확보 등에 시간이 걸려 최종 준공까지 대략 14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올해 신규 원전을 위한 부지 확보와 주민 설득에 나선다 하더라도 2037년 이후에나 신규 원전을 가동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지난 정부에서 백지화된 영덕 천지 1·2호기와 강원 삼척 대진 1·2호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주민 수용성 문제와 함께 보상금 지급 등 사업 진척도가 훨씬 앞선 천지원전이 우선 검토 대상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대구경북이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추진하고 있는 SMR 발전도 이번 실무안에 반영됐다.
남두백기자 dbnam@yeongnam.com

남두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