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도지사 "청사문제 거의 조율"
일부 쟁점 서로 양보하는 분위기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23일 계명대 대명캠퍼스에서 열린 '포럼 분권과 통합' 강연에서 행정통합 관련 질문에 대해 "거의 합의가 됐다"며 낙관적인 입장을 내놨다.
통합 논의 과정에서 대구시와 경북도는 청사 위치, 시·군 권한, 의견 수렴방식 등 핵심 쟁점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홍준표 대구시장이 통합 데드라인으로 못 박은 이달 말이 다가오면서 자칫 통합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 도지사는 쟁점으로 떠오른 청사 문제에 대해 "도청이 안동으로 옮긴 지 10년이 안 됐다. 원칙적으로 한 곳을 정하는 것이 맞지만, 그러면 혼란이 크기 때문에 현 상태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10년이 흘러가면 저절로 합쳐질 것"이라며 "청사 문제는 거의 조율돼 간다"는 희망적인 답변을 내놨다.
현 상태 유지란 시청·도청 2청사 체제를 뜻하는 것으로 풀이돼, 이와 관련 대구시 측에서 전향적인 제안을 내놓은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이 도지사의 발언은 홍 시장과 만난 뒤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앞서 이 지사는 지난 21일 대구 산격청사를 찾아 홍 시장에게 통합안에 대한 입장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만남은 통합 관계기관 2차 회의 하루 전에 이뤄졌다. 이후 쟁점에 대한 대구시의 입장 변화도 감지된다. 홍 시장은 지난 22일 산격청사에서 열린 통합 관계기관 2차 회의장을 찾아 통합과 관련한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홍 시장은 "쟁점에 대한 대구시 입장을 다시 정리하도록 했다"며 "관할 구역 문제와 관련해선 기능별로 나누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사 문제에 대해 양보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시·군 권한 쟁점에 대해선 이견을 재확인했다. 이 도지사는 "시·군 권한을 그대로 두는 현 상태에서 중앙 권한을 가져와야 통합이 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홍 시장은 "대구경북특별시를 지원기관에서 집행기관으로 전환하는 것인 만큼, 통합하면 시·군의 권한이 축소된다"고 강조했다.
일부 쟁점에 대한 이견은 있지만, 막판 합의에 대한 가능성은 남겨두고 있다. 양측 모두 통합 필요성에 공감하는 데다, 무산에 따른 정치적 타격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도지사는 "조그마한 사안으로 역사적인 일을 그만둬서 되겠느냐. 결국은 대박나는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엽기자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