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대입수시특집]
1학년2학기부터 전과신청 가능
일부 제외 야간→주간 전환도
![]() |
![]() |
도달현 입학처장 |
계명대는 2025학년도 신입생 정원 내 모집인원 4천665명 중 87.8%인 4천98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으로 2천318명, 학생부종합전형으로 1천151명, 실기/실적전형으로 629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계명대 수시모집의 가장 큰 변화는 학생부교과(면접전형) 신설이다. 1단계는 학생부 100%로 10~20배수를 선발해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80%와 면접 20%로 선발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학생부교과(일반, 지역전형)보다는 다소 하향으로 설정돼 있다. 일반학과는 수능 2개 영역의 등급 합이 12 이내, 유아교육과, 영어교육과, 국어교육과, 국제경영학과(IB), 국제관계학과(IR), 디지펜게임공학과는 수능 2개 영역의 등급 합이 10 이내, 경찰행정학과와 간호학과는 2개 영역의 등급 합이 8 이내, 의예과는 수능 3개 영역의 등급 합이 4 이내, 약학부는 수능 3개 영역의 등급 합이 6 이내이다.
올해 학생부종합(지역전형)에서 약학부 7명을 신규 모집한다. 서류 100%로 선발하되,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학생부교과(일반, 지역전형)보다 낮은 수능 3개 영역의 등급 합이 6 이내로 선발한다. 학생부 비교과영역이 약학부 진학으로 준비돼 있는 수험생은 적극적으로 지원해 볼 필요가 있다.
학생부종합(일반전형)과 학생부종합(지역전형)에는 의예과를 제외한 모든 학과가 서류 100%로 선발한다. 면접을 실시하는 의예과는 전년도와 동일하게 1단계는 서류 100%,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80%와 면접 20%로 선발한다. 전년도와 달리 학생부종합(지역전형)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수능 3개 영역의 등급합 4 이내로 설정되어 있고, 학생부종합(일반전형)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폐지가 된 부분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실기/실적(예체능전형)은 학생부 20%에 실기 80%로, 실기 반영 비중이 크다는 점에 유의해 실기 준비를 철저히 해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올해 태권도학과 지원자의 실기고사가 변경돼 제자리 멀리뛰기 대신 기본발차기를 실시한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미술대학·체육대학 지원자 중 학생부에 강점이 있는 학생은 비실기 전형인 학생부종합(일반전형)과 학생부종합(농어촌전형)으로 지원하면 된다.
올해 계명대의 무전공 선발이 대폭 확대된다. 종전 자율전공부 인문사회계열에서 72명, 자연공학계열에서 65명을 모집하던 것을 계열을 통합해 총 220명을 선발하게 된다. 계열에 구분없이 선발해 지원자가 자율전공부 배정학과 중 하나의 학과에 100% 진학을 할 수 있다. 다만 경찰행정학과는 50명(전년도 35명 대비 15명 확대), 올해 처음 자율전공부에서 진학이 가능한 혁신신약학과는 15명만 갈 수 있다. 이 두 개의 학과에 진학하고 싶은 수험생은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2학기로 전과 신청을 통해서도 갈 수 있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계명대는 올해 학과별 전과 시기를 대폭 확대해 종전 전입 2학년 1학기에서 3학년 1학기로 허용하던 것을 1학년 2학기부터 매학기 신청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90여 개의 다양한 학과가 있는 계명대의 전과는 야간학과에서 주간학과(의예과, 간호학과, 약학부 제외)로도 전과가 가능해 또 다른 입시전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경찰행정학과와 컴퓨터공학과, 게임소프트웨어학과 등의 경쟁력 있는 학과 지원 시에도 교과 성적이 부족하다면 모집인원을 대폭 확대한 자율전공부로 우회해 지원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