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산업부 '실외이동로봇 성능 및 안전성 평가 기반 구축' 과제 유치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내 총사업비 195억9천만원 투입해 평가센터 구축
![]() |
대구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감도. <대구시 제공> |
대구 달성군 유가읍 일대에 한창 조성중인 대구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부지안에 '실외이동로봇평가센터'가 구축된다. 실외이동로봇의 시험부터 실증, 평가, 인증까지 가능한 원스톱 로봇개발 생태계가 갖춰지게 됐다.
1일 대구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실외이동로봇 성능 및 안정성 평가 기반 구축' 공모에 대구가 최종 선정됐다.
![]() |
실외이동로봇 성능 및 안정성 평가 기반 구축 사업의 비전, 목표, 추진 과제 등. 대구시 제공 |
이 사업의 목적은 △배달·순찰 등 자율주행 실외이동로봇의 주행성능 △충돌 안전성 시험 및 평가 인프라 구축 △이동로봇의 기술개발과 상용화 촉진 △품질 신뢰성 향상이다.
시는 오는 2028년까지 국내 유일의 서비스로봇 종합실증 인프라인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부지 내에 '실외이동로봇 평가센터'를 구축한다. 국비 100억원을 포함해 총 사업비 195억9천만원이 투입된다. 충돌 안전성·구동부 성능 등 평가장비 4식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장비를 통해 평가기술 개발·시험평가 지원·애로기술 컨설팅 등 기업지원 사업을 한다.
특히, 국가로봇테스트필드의 실·가상 실외주행 공간과 시설을 연계하면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실외이동로봇의 시험·실증·인증 기능을 모두 갖추게 된다.
올해부터 본격 추진되고 있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는 현재 순조롭게 사업이 진행중이다.
지난 3월 산업부·대구시·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이 사업의 효율적 진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인프라를 빨리 조성한 뒤 2027년 시범운영, 2028년 본격 운영에 돌입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인프라 조성의 첫 단추이자, LH와의 협의가 필요한 사업부지 매입은 대구시가 전담해 추진한다. 그 결과 지난 6월엔, LH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당초 계획했던 면적·위치와 동일한 조건으로 부지매입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대구시는 향후 추진과정에서 총괄 수행기관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중심으로 온라인 수요조사·간담회 등 여러 경로로 업계의 수요를 파악, 인프라 조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최근 지능형로봇법 개정, 운행안전 인증제도 도입으로 실외이동로봇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된다"며 "신규사업을 추가로 발굴하고, 연계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일대를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로봇산업 혁신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