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909001342504

영남일보TV

공포의 8월 전기요금, 생각보다 선방?

2024-09-09 13:47

작년동월比 9% 증가…10만원 이상 늘어난 가구는 1% 가량

한전.jpg
한전 홈페이지 캡처

역대급 폭염으로 공포에 떨게했던 8월 주택용 전기요금이 13%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전력은 지난 8월 주택용 전기의 가구당 평균 사용량이 363kWh(킬로와트시)로 작년 같은 달보다 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이에 8월 평균 주택용 전기요금은 6만3610원으로 작년보다 7520원 오른다. 8월 말까지 집계된 검침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최종적인 8월 전기 사용량과 전기요금은 9월 말에 확정된다.

주택 전기요금 인상 폭이 사용량 증가 폭보다 큰 것은 주택용 전기에는 사용량이 많을수록 전기요금을 무겁게 매기는 누진제가 적용돼서다. 여름(7∼8월) 전기요금 체계는 가정용의 경우 '300kWh 이하', '300∼450kWh', '450kWh 초과'의 3단계로 구간을 나눠 위로 갈수록 요금을 무겁게 매기고 기본요금도 달리 적용하는 누진제를 적용한다.

작년 8월보다 올해 8월 전기요금이 증가한 가구는 76%로 파악됐다. 요금이 증가한 가구의 평균 증가액은 약 1만7000원이었다. 다만 전기요금이 줄어든 가구를 제외하고 요금이 늘어난 가구당 전기요금 증가액은 평균 1만 7천원 정도로 전망된다.

요금 인상 폭으로는 1만원 미만(약 39%)과 1만∼3만원(약 28%) 구간이 많았다. 10만원 이상 전기요금이 증가한 가구는 1% 정도다.
 

gettyimages-931173000.jpg
게티이미지뱅크

전기요금 증가분이 우려했던 것보다는 낮게 나온 것으로 보이는데 한전은 이에 대해 "전기 절약을 실천한 국민들의 노력으로 전기요금 증가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전기 사용량이 증가한 데에는 한 달 내내 이어진 찜통더위로 냉방용 전기 수요가 많이 늘어나서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8월 폭염일수는 16일로 2016년 16.6일에 이어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많았다. 또 지난달 열대야 일수는 11.3일로 통계 집계 이후 처음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폭염일수는 16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래 2016년(16.6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특히 열대야 일수는 11.3일로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8월 평균 최대 전력수요는 작년 동기 보다 6.1% 증가한 87.8GW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대 전력수요는 하루 중 전력 수요가 가장 높은 시간대의 전력수요다.

 


서용덕기자  sydkjs@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서용덕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