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관, 사안조사와 공동 캠페인 등 협력키로
![]() |
지난 6일 대구시교육청에서 딥페이크 범죄 대응을 위한 민관합동협의체 간담회가 열렸다. <대구시교육청 제공> |
최근 대구 교육 현장에서도 다수의 '딥페이크'(Deep fake·AI로 만든 영상, 이미지, 음성 조작물) 범죄 피해 가능성이 제기(영남일보 8월 27일자 8면 등 보도)돼 우려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관계 기관이 모여 대응책을 모색했다.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6일 시교육청 여민실에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민관합동협의체' 간담회를 갖고 딥페이크 성범죄 근절과 예방을 위한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9일 밝혔다.
간담회에는 시교육청과 대구경찰청, 시민단체 관계자 등 14명의 실무진이 참석해 학교 디지털 성범죄 전반에 대한 대응책을 다각적으로 모색했다.
이들은 △실무자 핫라인 구축 △사안조사 협력 △학교전담경찰관(SPO)의 학교현장 교육 △민관합동협의체 공동 캠페인 △교육과정연계 들머리 교육(정보윤리, 민주시민교육, 인성교육) 및 민관합동협의체 학부모교육 강화 등 딥페이크 범죄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더불어 중장기 예방 교육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와 함께 교육권보호센터의 심리검사와 찾아가는 상담, 5대 종합병원 및 10개 권역별 협력병원의 전문치료, 교육청 변호사 피·가해 학생 및 교사 법률 상담 지원 등 딥페이크 성범죄 관련 피해 회복 지원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교육청과 경찰청, 대구여성의전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등 민간합동협의체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을 위한 예방과 사안처리, 회복지원의 3-STEP을 구현해 사이버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불특정 인물의 얼굴과 신체 사진을 합성하는 일명 '딥페이크' 사진 등이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에서 공유됐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그 여파가 지역 교육계에도 미치고 있다.
이른바 '딥페이크 피해 대구경북 학교' 명단이 온라인 상에 게재되면서, 교육 당국과 경찰이 사실관계 파악에 나섰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