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시 출동해도 진압은 불가능하다는데..."
독성 가스 추가 피해도 우려…소방관·시민 안전 담보 못해
전문가 "신기술 개발·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전환 절실"
지난달 2일 인천 서구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차량 들이 전소돼 있다. 전날 오전 6시15분께 아파트 지하 1층에서 벤츠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해 8시간20분 만에 진화됐다. 연합뉴스 |
최근 정부가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지만, 대구지역 일선 소방관들은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안 된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사용 중인 장비로는 화재 진압 효율성이 떨어지고 차량이 전소되는 동안 발생하는 독성 물질 등 추가 피해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6일 전기차 배터리 관리시스템 구축과 전국 소방서에 전기차 화재 진압장비를 확대 보급, 건물 내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등을 골자로 한 대응 방안을 내놨다.
대구소방본부도 올해 소방법에 따라 기준을 충족하는 관련 장비를 확보했다. 지난달 말 기준 보유 장비는 질식소화덮개(18개), 전기차 전용 관창(상방방사관창·51개), 이동식 소화수조(조립형 8개·포켓형 2개) 등 3종 79개다.
하지만 지역 일선 소방관과 관련 업계는 현재 장비로는 전기차 화재 진압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의 한 소방관은 "현재 전기차 화재 시 쉽게 꺼지지 않아 배터리 내 리튬 소재와 발화 소재가 모두 연소할 때까지 물을 뿌려 확산을 방지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며 "스프링클러, 관창 장비가 늘어나더라도 화재를 진압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소화수조도 설치하려면 공간적 제약으로 현장에서 빠르게 전개하기 힘들어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소방 업계에서는 차량이 전소될 때까지 발생하는 독성가스의 추가 피해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지역 한 소방 제품 개발 업체 관계자는 "리튬이 연소하면 강한 독성을 가진 불산 가스가 나오는데 소량에도 인체에 치명적인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질식소화덮개 소재인 유리섬유도 미세한 입자 탓에 호흡기 질환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해 소방관과 시민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기차 화재에 대한 위협이 지속되고 있지만 대구소방본부와 대구시는 배터리 제조사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지역 내 등록된 중국산 전기차 및 중국산 배터리 탑재 차량에 대한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김정현 대구가톨릭대 교수(소방방재학과)는 "현재 소방 당국의 전기차 화재 진압법은 불을 끄는 원칙적인 방식이 아니라 냉각시켜 재발화를 방지하는 데 가깝다"며 "신기술 개발이나 신소재의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로 전환하는 방안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한편, 8월 말 기준 대구시의 보조금을 받은 전기차 등록 수는 3만3천130대다. 올 들어 대구에서 전기차 화재는 없었지만, 지난해 7건이 발생한 만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종윤기자 bell08@yeongnam.com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