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학교 딥페이크 피해 현황 4차 조사 결과' 발표
피해 신고 누적 504건…417건은 수사 의뢰
![]()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
'딥페이크(Deep fake·AI로 만든 영상, 이미지, 음성 조작물) 범죄' 피해를 당했다는 학생과 교원 수가 올해 누적 8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 딥페이크 허위영상물 피해 현황 4차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부터 이달 27일까지 학교에서 딥페이크 허위영상물 피해자는 총 833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799명, 교원 31명, 직원 등 3명이었다.
같은 기간 누적 피해 신고는 504건 접수됐다. 중학교 209건, 고등학교 279건, 초등학교 16건의 신고가 들어왔다.
지난 8월 말 교육 현장에서 딥페이크 문제가 본격 공론화되면서, 관련 피해 신고 건수도 크게 늘었다.
교육부가 올해 1월 1일부터 8월 27일까지 1차 조사에서 접수한 신고는 196건이었는데, 2차 조사(9월 6일)에선 불과 한 달 만에 238건이 추가됐다. 또 3차(9월 13일)에서는 32건, 4차(9월 27일)에서 38건이 각각 추가됐다.
교육당국은 신고가 들어온 504건 가운데 417건은 수사 의뢰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13건, 중학교 181건, 고등학교 223건 등이다. 또 218건은 해당 영상물 삭제 지원을 연계했다.
교육부는 딥페이크 허위영상물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자 학생·교원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긴급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한편, 불특정 인물의 얼굴과 신체 사진을 합성하는 일명 '딥페이크' 사진 등이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에서 공유됐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그 여파가 지역 교육계에도 미치고 있다.
딥페이크 범죄는 앞서 지난 26일 대구에서 열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총회에서도 중요한 화두가 됐다.
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총회에 참석해 딥페이크 성 착취 영상물에 대한 대응 방안을 설명하고 전국 17개 시도교육감에게 협조를 요청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