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글로벌 무탄소경제 선도 위한 7대 전략 21개 사업 추진
김병곤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이 10일 경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경북형 에너지 대전환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동해안을 기점으로 수소 에너지 고속도로를 설치한다. 또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획기적으로 늘려 글로벌 무탄소 대열에 합류한다.
경북도는 10일 원자력 에너지 인프라를 바탕으로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리는 경북형 에너지 대전환 정책을 발표했다.
이날 도청에서 경북형 에너지 대전환 추진 보고회를 통해 청정수소, 신재생에너지 등의 생산·보급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 7대 전략사업과 21개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도내 원전에서 생산한 수소를 지역 철강산업의 수소 환원제, 수소충전소 등에 공급하는 수소 에너지 고속도로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포항(포스코)와 영덕, 울진을 기점으로 경북 전역에 1천㎞ 수소 배관망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가 블루밸리산단(340억원·17㎞ )에 시범사업을 추진한 뒤 관련 인프라를 점차 확대하는 형태로 추진한다. 도는 민간투자 펀드를 조성해 2조원의 사업비를 충당할 방침이다
수소 보급로 확대에 맞춰 생산량도 늘린다.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내 원전 연계형 100㎽급 청정수소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원전을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및 저장, 활용에 필요한 장비 등을 종합적으로 도입한다.
이와 함께 도는 포항 블루밸리산단에 수소전문기업을 유치하는 등 수소연료전지 산업 클로스터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수소 보급 확대와 더불어 기존 원자력 생태계 활성화에도 매진한다. 경북에는 국내 가동하는 원자력발전소 26기 중 13기가 운영되고 있으며, 발전설비 용량은 11.4GW로 국내 원자력 발전설비 용량의 46.2%에 달한다. 원자력 국가산단 조성을 위해 경주와 울진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된 것과 관련 기업 유치 전략 수립 인허가 절차 등을 준비하고 있다.
이밖에 도는 차세대원자로 기반 조성을 위해 문무대왕과학연구소 건립을 조기에 완료하고, 정부의 동해 심해 가스전 상업 생산 추진에 맞춰 영일만 일원에 가스와 원유를 분리하는 에너지 생산플랜트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또, 3조원 규모의 수소복합터미널을 구축해 탄소중립 항만 인프라도 형성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 6월 발표되는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 선정에 매진할 계획이다. 원전 전 지역에 전력구매계약(PPA) 모델을 만드는 한편 경북 신재생에너지를 RE100 기업과 거래하는 플랫폼을 구축해 경북형 에너지 대전환을 완성할 방침이다.
김병곤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현재 에너지 트렌드는 청정에너지 전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무탄소 전원 비중이 확대되고 있어 청정에너지 자원을 토대로 한 에너지 전환 정책이 필요하다"며 "경북형 에너지대전환 계획을 통해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첨단기업 유치, 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에너지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