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팔공산에서 멸종위기Ⅱ급 대흥란 자생 사례 첫 확인
![]() |
팔공산국립공원 은해사 지구에 발견된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대흥란. 국립공원공단 제공 |
팔공산국립공원에 멸종위기야생생물 '대흥란'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공원공단 팔공산국립공원서부사무소(이하 서부사무소)는 이달 9일 팔공산국립공원 은해사 지구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 대흥란 서식지를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대흥란은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에 지정된 난초과 여러해살이 부생식물(腐生植物)이다. 통상 7~8월에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이 피며, 국내에서는 전남 남해안 일부, 전북, 경남 등 일부 지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식물로 알려졌다.
서부사무소는 팔공산국립공원 지정 전 문헌 자료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팔공산 일대 멸종 위기 식물의 자생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지난 7월부터 국립공원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합동 조사에 돌입, 대흥란 서식지를 발견하게 됐다.
서부사무소는 이번에 발견한 대흥란의 경우 이상기후에 의해 더운 여름이 지속하면서 개화 시기가 늦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서식지 인근에 마른 꽃대 상태의 대흥란 11개체가 추가 발견된 점을 미뤄볼 때 군락지 형성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이승준 팔공산국립공원서부사무소 자원보전과장은 "이번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대흥란의 발견은 국립공원과 시민과학자의 상호협력이 빛을 발한 결과이다"라며 "앞으로도 국립공원 시민과학자와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해 팔공산의 자생식물 발굴과 서식지 보호 및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