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1114010001755

영남일보TV

대성그룹, 양자컴퓨팅·노화 주제로 '2024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 개최

2024-11-14

1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양자컴퓨팅과 노화' 주제로 진행

대성그룹, 양자컴퓨팅·노화 주제로 2024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 개최
1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에서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발표하고 있다. <대성에너지 제공>

대성그룹이 자랑하는 바이오테크 분야 포럼이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으로 다시 태어났다. 에너지, 기후변화, 난치병 등 기존에 다루던 키워드에 국한하지 않고, 과학기술 전반을 다루는 장으로 탈바꿈했다. 올핸 특히 '양자컴퓨팅과 노화'를 주제로 삼았다. 인공지능(AI) 기술이 노벨 물리학상·화학상에 핵심 역할을 했듯 첨단기술 간 융합 연구의 중요성이 두드러지는 시점에서 시의적절한 주제란 목소리가 나온다.


2024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은 1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됐다. 2017년 출범 이후 올해로 7회째이다. 이번 포럼은 양자컴퓨팅과 노화를 함께 다뤘다. 생명공학, 양자컴퓨팅, AI, 시스템물리학 등 융합 연구 성과를 조명하고, 다가올 미래의 혁신적 변화를 전망했다.


'양자컴퓨터 세션'에서는 미국의 양자컴퓨터 전문기업 '아이온큐' 공동설립자인 김정상 미 듀크대 교수가 연사로 나서 이목을 끌었다. 김 교수는 양자컴퓨터 연구에선 세계적 권위를 가진 인물로, 국내에서도 이미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스핀소자 분야 세계적 연구성과를 보유한 김갑진 카이스트 교수는 양자기술이 미래사회에 미칠 영향력에 대해 소개했다.


'노화 세션'에선 조광현, 이승재 카이스트 교수가 참석했다. AI·바이오기술 융합 시스템 생물학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신약 개발을 선도하는 조광현 교수는 최신 성과를 발표했다. 이승재 교수는 줄기세포 및 재생의학 기술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역노화 및 회춘, 노화 과정 지연, 건강 수명 연장 등에 관한 비전을 제시했다.


카이스트 양자대학원장을 역임 중인 김은성 교수와 공학생물학대학원의 조병관 석좌교수가 각각 두 파트 좌장으로서 포럼을 이끌었다. 각자의 분야에서 쌓은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참석자들과 인사이트를 교류하고, 미래 과학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했단 평가를 받고 있다.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은 "최근 바이오테크 분야는 유전체학, 나노기술, 인공지능 등 다양한 첨단과학 기술과 결합해 더욱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런 흐름을 반영해 포럼 명칭도 변경했다"면서 "생명과학, 양자역학, 뇌과학, AI 등 다양한 최첨단 연구들이 융합해 혁신기술이 탄생하는 플랫폼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시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