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발 제주항공 7C2216편
착륙 과정서 활주로 외벽과 충돌
탑승객 181명, 2명 제외 전원 사망
조류 충돌, 기계 오작동 등 거론
무안 특별재난지역 선포
![]() |
29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구급대원이 사고 여객기 내부를 수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181명이 탑승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외벽에 충돌해 승객 대부분이 숨지는 초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29일 오후 6시10분 현재 탑승자 중 사고현장에서 수습된 사망자는 176명이고, 실종자는 3명으로 분류됐다. 생존자는 수색 초기 때 구조된 승무원 2명뿐이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9시3분쯤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 외벽과 충돌했다고 밝혔다. 사고가 난 기종은 B737-800으로,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81명이 타고 있었다. 승객 중 한국인이 173명으로 대부분이고, 나머지 2명은 태국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사고 발생 40여 분만인 오전 9시46분쯤 초기 진화를 마쳤지만, 기체 후미에서 부상자 2명만 구조하는 데 성공했다. 부상자는 모두 승무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조된 승무원 2명을 제외한 탑승자는 대부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무안국제공항은 광주와 전남 지역민이 주로 이용하고 있어 인명피해도 이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사고가 난 제주항공 7C2216편은 이날 오전 1시30분쯤 방콕에서 출발해 오전 8시30분 무안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예정 도착 시각에 무안공항 활주로에 안착하지 못한 여객기는 랜딩기어(착륙 시 사용하는 바퀴)를 펼치지 못한 채 '동체착륙'을 시도하던 중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랜딩기어가 펼쳐지지 않은 원인으로는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과 기계 결함 등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정부는 이번 사고가 발생한 무안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무안군청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현장에 설치된 통합지원본부를 통해 피해 수습과 지원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이번 참사로 전소된 제주항공 여객기의 항공보험 피해자 배상책임 담보 보상한도가 10억달러(약 1조4천720억원)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 측은 내년 1월1일 오전 5시까지 무안공항 활주로를 폐쇄하기로 했다.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