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1229010004717

영남일보TV

[제주항공 무안 참사] '조류 충돌' 공포 확산…"대구공항은 비교적 안전"

2024-12-29

29일 무안공항 항공기 추락 참사

버드스트라이크(조류 충돌) 지목

1㎏ 새와 충돌 시 5t 충격 여파

대구공항은 조류충돌 가능성 낮아

[제주항공 무안 참사] 조류 충돌 공포 확산…대구공항은 비교적 안전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소방 당국이 인명 구조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제주항공 무안 참사] 조류 충돌 공포 확산…대구공항은 비교적 안전
대구공항 활주로 주변 새퇴치를 위해 공군 제11전투비행단 운항지원반이 사용하는 장비. 영남일보DB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참사 원인을 놓고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가능성이 비중있게 거론되고 있다.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기와 새가 충돌하는 사고를 말한다.

이날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번 사고의 1차 원인은 조류 충돌로 인한 랜딩기어 불발로 추정된다. 랜딩기어는 비행기 바닥에 붙어 있는 다리 부분이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다. 조류 충돌로 랜딩기어가 정상 작동하지 않은 채 동체 착륙을 시도했고, 결국 외벽과 충돌해 기체가 폭발했다는 것. 사고 당시 "착륙 중 새 떼 충돌 후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목격자 증언도 다수 나왔다.

조류가 빠른 속도로 운항 중인 비행기와 충돌할 경우 충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시속 360㎞로 운항 중인 항공기가 1㎏ 이하 새와 부딪히면 약 5t의 충격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충돌 가능성은 순항 고도보다는 이륙과 착륙 과정에서 더 높아진다.

특히 새가 엔진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 엔진의 팬 블레이드가 망가지면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심할 경우, 랜딩기어 등의 작동에도 영향을 미쳐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조류 충돌은 사고 발생시 조종 난이도를 높이고, 항공기 정상 운항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국에서도 조류 충돌은 심심찮게 발생한다. 한국공항공사 등의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 공항에서는 조류 충돌이 623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76건, 2021년 109건, 2022년 131건, 2023년 152건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1월에도 청주공항과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 중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한 바 있다.

다만, 대구공항에선 조류 충돌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는 게 중론이다. 겨울철 철새 도래지와 상당 거리 떨어져 있는 내륙에 위치해 있어서다.

하성영 경운대 교수(항공교통물류학과)는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무안을 비롯해 김포, 인천, 군산 등 서해안지역 대부분 공항은 겨울철 북쪽 철새가 지나는 길목이다. 대구공항 경우 조류 충돌 발생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고 봐야 한다"며 "조류 충돌이 사고 시발점은 맞지만,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이유를 정확히 분석하는 게 우선이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블랙박스 등 관련 조사를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승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