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종합유통센터 2개소(청도·성주), 가공활성화센터 1개소(포항) 신규 조성
경북산림사관학교 7개 과정으로 확대 개편. 맞춤형 교육을 통한 산림 인재 양성
![]() |
경북도가 임산업 도약을 위한 중장기 비전을 발표했다.사진은 경북 성주 표고버섯 농장 재배 농가. 경북도 제공 |
전국 최고 수준의 산림 자원을 갖춘 경북도가 올해 임산업 육성을 본격화한다. 산림 인재 양성과 유통 인프라 확대에 힘을 실어 그간 저평가된 임산업에 돈과 사람이 몰릴 수 있도록 집중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8일 임산업을 도약시키기 위한 중장기 비전을 발표했다. 올해를 임산업 기반 마련의 원년으로 삼고, 산림 인재 양성, 임산물 유통 확대, 목재 자원 활용 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도에 따르면 경북 전체 면적의 70% 이상은 산림이다. 연간 임산물 생산액은 1조 5천억 원에 달하고, 전국 생산량의 21%를 차지한다. 하지만 임가 소득은 농가소득의 74% 수준에 머물고, 목재 자급률은 18.6%에 그쳐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임산물 생산 2조원, 임가소득 5천만원을 목표로 중장기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우선 경북산림사관학교 교육 과정을 5개→7개로 확대 개편한다. 이를 통해 연간 산림전문 인재 180명을 양성할 방침이다. 수료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 조직도 신규 지원한다. 임산물 품질 향상과 유통 구조 개선에도 앞장선다. 청도와 성주엔 산지종합유통센터를 포항엔 임산물 가공활성화센터를 각각 설치, 산림업에 사람과 돈을 유입되도록 할 방침이다.
고품질 국산 목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인프라도 단계적으로 늘린다. 산림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우드칩, 연료용 펠릿 등으로 가공하는 미이용 산림자원화센터(30억원)를 올해까지 성주에 조성한다. 내년엔 포항에 경상권 목재자원화센터(100억원)도 들어선다.
도는 전국적 귀산촌 수요를 경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일자리·주거·안정 정착까지 지원하는 '4060+ K-산촌 드림' 사업과 '산채 스마트팜 혁신단지'를 단계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풍부한 산림 자원을 활용해 임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산림을 통해 도민에게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