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포항시를 시작, 지역경제 활력 회복 프로젝트 '기사회생 버스' 운영
![]() |
12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북도 2차전지·철강기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경북 기업인과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기사회생 버스'가 12일 포항에서 첫 운행을 시작했다. '기업을 사랑하고, 회복을 지원해 대한민국을 살리는 생(生) 현장 탐방'을 골자로 한 기사회생 버스는 기업인과 민생현장 당사자가 직접 만나 경제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 성장 동력을 얻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됐다. 기업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도정 철학이 담긴 버스이기도 하다.
이 도지사는 이날 기사회생 버스를 타고 포항시청을 방문해 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 이동렬 포스코 포항제철소 소장 등 주요 기업인들과 2차전지·철강산업 재도약 방안을 모색했다. 포항은 국가 기간 산업이자,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강 산업이 위기에 직면하고, 2차전지 산업은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는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에 주춤하고 있다.
이날 도는 포항 산업의 위기 상황을 공감하고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되면 대규모 휴폐업·실직으로 위기에 봉착할 지역을 범부처가 합동으로 지원하게 된다. 경제·산업계의 '특별재난지역'으로 보면 된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포항과 울산 등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선포할 것을 제안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경북도 기사회생 버스 방문에 포항 기업인들은 설비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과 같은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철강업계에선 탄소 중립 전환을 위한 청장 수소 확보 방안과 간담회 정례화를, 2차전지업계는 친환경 설비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을 요구했다. 도는 설비 투자 여력이 있는 기업을 적극 발굴하는 한편 올해 예정된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공모로 전력 자립률 제고 방안 등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어 포항공대에서 열린 철강·금속산업 디지털 대전환 선포식에 참석해 민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포항 죽도시장에선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도지사는 "기사회생 버스를 통해 도민들과 똘똘 뭉쳐 위기를 타파하는 하나된 경북의 힘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